목차
한국어판 서문 = 5
역자 서문 = 9
저자 서문 = 15
제1부 규제능력
제1장 코드는 법이다 = 31
제2장 사이버공간의 네 가지 퍼즐 = 43
1. 경계들 = 44
2. 통치자들 = 53
3. 제이크의 공동체 = 54
4. 검열용 웜 = 60
5. 테마들 = 64
제3장 현존주의 = 73
1. 가상공간들 : 하버드 대 시카고 = 75
제4장 통제의 구조들 = 85
1. 신원과 인증 : 현실공간 = 86
2. 신원과 인증 : 사이버스페이스 = 89
3. 신원과 인증 : 규제능력 = 91
4. 신원확인의 구조 = 92
5. 암호기술 : 기밀성 대 인증성 = 96
6. 상거래를 위한 통제 = 103
제5장 코드의 규제 = 111
1. 규제의 구조 = 112
2. 증명과 규제능력 = 127
3. 동부연안코드와 서부연안코드 = 134
4. 신원확인이 가능한 세계의 규제 = 136
제2부 코드와 다른 규제자들
제6장 사이버공간들 = 153
1. 공간의 가치들 = 156
2. 사이버 - 장소들 = 161
3. 구조들의 중요성과 공간들의 차이점 = 191
4. 통제력의 균형 = 193
제7장 무엇이 규제하는가 = 197
1. 도트의 생명 = 201
2. 정부와 그 규제방식 = 208
3. 간접규제의 문제점 = 222
4. 어디로 나아가는가 = 228
제8장 공개 코드의 한계 = 231
1. 넷상의 코드 = 232
2. 넷 코드의 약사(略史) = 237
3. 넷상의 공개 코드 = 240
4. 공개 소스의 규제 = 243
5. 어디로 이끌어가는가 = 247
제3부 응용영역
제9장 해석 = 253
제10장 지적 재산권 = 275
1. 저작권 소멸 보고서 = 280
2. 법적 구제 = 283
3.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지적 재산권에 대한 약속 = 288
4. 재산보호의 한계 = 293
5. 공법에 대한 사적 대안 = 304
6. 불완전함이 허용하는 익명성 = 313
7. 완벽함이 제기하는 문제들 = 316
8. 선택들 = 317
제11장 프라이버시 = 325
1. 법에 의해 보호되는 공간들 = 329
2. 사용의 통제 = 341
3. 해결방안 = 356
4. 검색능력 : 코드의 권력과 절차의 보장 = 357
5. 감시 : 재산권을 통한 재해결 = 361
6. 프라이버시의 비교 = 368
제12장 표현의 자유 = 371
1. 표현의 규제자 : 출판 = 379
2. 표현의 규제자 : 접근 = 390
3. 표현의 규제자 : 배포 = 411
4. 표현의 문제가 주는 교훈 = 418
제13장 막간 = 421
제14장 주권 = 425
1. 공간의 주권 = 428
제4부 대응책
제15장 당면한 문제들 = 473
1. 법원의 문제점 = 474
2. 입법부의 문제점 = 484
3. 코드의 문제점 = 489
제16장 대응방안 = 493
1. 사법부의 대응방안 = 493
2. 코드에 대한 대응방안 = 496
3. 민주주의의 대응방안 = 500
제17장 디클렌은 무엇을 얻지 못하는가 = 511
추록 = 519
찾아보기 = 531

(목차정보: 국립중앙도서관 제공)
닫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