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
책머리에
제1부 다산의 개인윤리사상 : 도덕적 자율성 문제 = 1
제1장 서론 = 3
제2장 다산 도덕적 자율성의 배경 = 17
1. 도덕적 자율성의 의미 = 17
1) 서양윤리에서의 도적적 자율성 = 17
2) 동양윤리에서의 도덕적 자율성 = 32
2. 도덕적 자율성의 윤리사상적 토대 = 47
1) 성리학의 비판적 수용 = 53
2) 원시유가사상으로의 회귀 = 58
3) 서학사상의 내재적 영향 = 63
4) 실학사상의 종합적 수용 = 69
제3장 다산 도덕적 자율성의 근거 : 天 = 77
1. 천사상의 변천 = 78
2. 상제천의 개념 = 92
3. 천의 윤리적 기능 = 103
제4장 다산 도덕적 자율성의 주체 : 人 = 113
1. 성리학에서의 인 = 113
2. 인간의 본성 = 125
3. 성기호설 = 131
제5장 다산 도덕적 자율성의 기제 : 心 = 149
1. 성리학에서의 심 = 149
2. 심의 개념 및 구조 = 161
3. 심의 자율적 기능 = 166
제6장 다산 도덕적 자율성의 정합성과 실천 = 189
1. 천ㆍ인ㆍ심의 정합 = 189
1) 윤리적 정합성 = 189
2) 천인관계의 특성 = 193
3) 도덕적 책임의 강조 = 197
2. 도덕적 자율성의 실천 = 200
1) 이상적 인간의 모습 = 200
2) 도덕적 실천의 방법 = 207
3) 실천적 윤리관의 구현 = 225
제7장 결론 = 245
제2부 다산의 사회윤리사상 : 실학의 사회적 적용 = 253
제1장 조선후기 실학의 사회윤리적 성격 -다산의 사회개혁론을 중심으로- = 255
1. 머리말 = 255
2. 사회윤리의 개념 = 260
3. 실학의 사회윤리관 분석 = 264
1) 사회구조 분석 = 264
2) 의식구조 분석 = 268
4. 다산 실학의 사회윤리적 성격 = 275
1) 윤리의 사회성 인식 = 276
2) 사회 구조적ㆍ제도적 개혁 추구 = 279
5. 맺음말 = 283
제2장 다산의 경제윤리사상 = 287
1. 머리말 = 287
2. 조선후기 사회구조에 대한 체계적 분석 = 290
3. 다산의 경제개혁사상 = 295
4. 다산 경제윤리의 특성 = 301
5. 맺음말 = 306
제3장 다산의 정치윤리사상 = 311
1. 머리말 = 311
2. 조선후기의 정치적 상황 = 314
3. 다산의 정치철학 = 318
4. 다산의 정치윤리와 공직윤리 = 323
1) 다산의 공직 경험 = 323
2) 이상적 공직자상 = 326
3) 목민관 윤리 = 330
5. 맺음말 = 334
제4장 다산 도덕적 자율성의 현대 윤리교육에의 적용 = 337
1. 현대사회의 윤리적 상황과 윤리교육 = 337
2. 윤리교육 목적으로서의 도덕적 자율성 = 344
3. 도덕적 자율성을 통한 인간성 회복 = 350
4. 윤리교육에서 자율과 책임의 원리 = 355
5. 인간관계에서의 윤리적 실천 = 357
참고문헌 = 363
찾아보기 = 379

(목차정보 : 국립중앙도서관 제공)
닫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