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제1부 헤이안 산문문학과 마쿠라노소시
제1장 〈소시〉와 〈닛키〉
1. 머리말 = 10
2. <소시〉와 <닛키> = 13
3. 『가게로닛키』 『이즈미시키부닛키』의 칠석 장면 = 18
4. 마쿠라노소시의 칠석 장면 = 27
5. 『무라사키시키부닛키』의 고세치 장면 = 34
6. 마쿠라노소시의 고세치 장면 = 42
7. 맺음말 = 49...
더보기
목차 전체
제1부 헤이안 산문문학과 마쿠라노소시
제1장 〈소시〉와 〈닛키〉
1. 머리말 = 10
2. <소시〉와 <닛키> = 13
3. 『가게로닛키』 『이즈미시키부닛키』의 칠석 장면 = 18
4. 마쿠라노소시의 칠석 장면 = 27
5. 『무라사키시키부닛키』의 고세치 장면 = 34
6. 마쿠라노소시의 고세치 장면 = 42
7. 맺음말 = 49
제2장 마쿠라노소시의 〈달〉
1. 머리말 = 50
2. 아리아케 달 = 52
3. 여행지에서의 달 = 63
4. 궁중에서의 달 = 69
5. 맺음말 = 78
제3장 궁정 가요와 축제적 시공
1. 머리말 = 80
2. 「~는」 형 장단과 가요 = 82
3. 가요에 의한 전거 표현 = 103
4. 가요와 마쓰리 = 113
5. 맺음말 = 122
제2부 와카문학의 계승과 도전
제1장 「~는」 형 장단의 세 유형
1. 머리말 = 126
2. 「지리적 장단」- 와카적 장단 = 128
3. 「자연물 장단」- 중간적 장단 = 141
4. 「인사적 장단」- 비와카적 장단 = 152
5. 맺음말 = 159
제2장 「~것」형 장단의 〈것〉
1. 머리말 = 164
2. 「~는」 형 장단과의 차이 = 166
3. 자연물을 대상으로 할 때 = 181
4. 「것」의 주제화 방법 = 187
5. 대상물에 대한 서술 자세 = 197
6. 맺음말 = 202
제3장 「~것」 형 장단의 〈사랑〉
1. 머리말 = 203
2. 「닭 울음소리」 = 205
3. 「몰래 하는 사랑」의 밀회 장면 = 213
4. 「낮잠」 장면 = 222
5. 노녀의 사랑 = 228
6. 맺음말 = 237
제3부 마쿠라노소시 와카의 위상
제1장 행사 와카인가 연가인가
1. 머리말 = 242
2. 마쿠라노소시의 본문 개관 = 244
3. 와카를 둘러싼 「바(場)」 = 249
4. 「길고 긴 산 속」 가의 해석 = 254
5. 「길고 긴 산 속」 가의 의미 = 260
6. 「살짝 언 얼음」 가의 해석 = 262
7. 「살짝 언 얼음」 가의 의미 = 267
8. 연가적인 성격의 의미 = 270
9. 맺음말 = 272
제2장 연가에서 석교가로
1. 머리말 = 275
2. 전거 문제 = 277
3. 해당가의 이중성 = 285
4. 후속 산문의 기능 = 292
5. 장단 구성 방법 = 297
6. 맺음말 = 307
제3장 〈이월 추위〉와 와카
1. 머리말 = 309
2. 「이월말 경에」 단의 성격 = 310
3. 「조금 봄기운 있는 기분이 드는구나」 구 = 313
4. 「하늘이 추워 꽃 같이 떨어지는 눈꽃송이에」 구 = 319
5. 와카에 보이는 <이월 추위〉 = 322
6. 와카의 한시문 수용 = 326
7. 「비와카적인」 장면의 와카화 = 329
8. 맺음말 = 333
제4부 한시문학의 도입과 변형
제1장 「비파행」 여인
1. 머리말 = 336
2. 「비파행」 여인의 이미지 = 337
3. 이중의 전거 = 345
4. 「비파행」 여인에 대한 당시의 인식 = 349
5. 세이쇼나곤 언사에 나타난 「비파행」 여인 이미지 = 352
6. 「보통사람」의 「비파행」 여인 = 360
7. 맺음말 = 363
제2장 「향로봉」의 눈 풍경
1. 맺음말 = 367
2. 「향로봉의 눈」 단 = 367
3. 「향로봉의 눈」 단과 백낙천 시 = 370
4. 「발렴(撥簾)」 구와 「발을 말아 올리는」 동작 = 375
5. 「발을 말아 올리는」 동작의 계통 = 381
6. 칸막이 「발」 = 386
7. 마쿠라노소시의 「발」 = 392
8. 「향로봉의 눈」 단의 위상 = 395
9. 맺음말 = 397
제3장 렌쿠와 렌가
1. 머리말 = 399
2. 해당 증답을 말하는 본문 = 401
3. 헤이안 시대의 백낙천 시구 수용과 마쿠라노소시 = 409
4. 다다노부 구의 의미 = 413
5. 세이쇼나곤 구의 의미 = 417
6. 다다노부가 대답을 할 수 없었던 이유 = 421
7. 맺음말 = 428
제5부 마쿠라노소시 연구사 및 본서의 요약과 의의
마쿠라노소시 연구사
1. 작자론의로서의 마쿠라노소시 연구 = 433
2. 작품론의로서의 마쿠라노소시 연구 = 436
3. 표현론적 연구의 대두 = 444
본서의 요약과 의의
(목차 정보: 국립중앙도서관 제공)
더보기 닫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