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머리말 = 13
1 고난과 갈등, 그 서사적 행로의 기록 : 『죽천행록』
Ⅰ. 서론 = 23
Ⅱ. 『죽천행록』ㆍ『됴텬녹』ㆍ『슈로됴텬녹』ㆍ『항해록』등과의 관계 = 28
Ⅲ. 기록자 및 기록시기 = 45
Ⅳ. 구성 및 내용 = 57
1. 기록된 날짜와 노정 = 57
2. 굴욕적 외교의 실상과 기록자의 의도 = 67
Ⅴ. 서사적 성격 = 70
...
더보기
목차 전체
머리말 = 13
1 고난과 갈등, 그 서사적 행로의 기록 : 『죽천행록』
Ⅰ. 서론 = 23
Ⅱ. 『죽천행록』ㆍ『됴텬녹』ㆍ『슈로됴텬녹』ㆍ『항해록』등과의 관계 = 28
Ⅲ. 기록자 및 기록시기 = 45
Ⅳ. 구성 및 내용 = 57
1. 기록된 날짜와 노정 = 57
2. 굴욕적 외교의 실상과 기록자의 의도 = 67
Ⅴ. 서사적 성격 = 70
Ⅵ. 『화포항해록』과의 차이 = 94
Ⅶ. 결론 = 106
2 화이 통합의 보편적 세계관, 그 현장의 기록 : 『을병연행록』
Ⅰ. 서론 = 111
Ⅱ. 담헌의 사상적 바탕과 연행의 의미 = 113
Ⅲ. 서지적 성격 = 120
Ⅳ. 내용적 성격 = 128
1. 내용의 전개와 짜임 = 128
2. 세계관의 확장 = 145
Ⅴ. 문학사적 위상 = 160
Ⅵ. 결론 = 164
3 관심ㆍ발견ㆍ놀라움, 그 지향성과 문화의식 : 『무오연행록』
Ⅰ. 서론 = 169
Ⅱ. 편차와 노정 및 내용 = 171
Ⅲ. 북경 체류 기간의 행적 = 178
Ⅳ. 내용과 시대적 의미 = 184
1. 중국의 문물제도 및 풍속에 대한 관심 = 185
2. 언어와 문자에 대한 관심 = 188
3. 천주교에 대한 관심 = 190
4. 지리 및 지형에 대한 관심 = 192
5. 옛 사신들의 발자취와 연행록에 대한 관심 = 194
Ⅴ. 기록자의 자아인식 = 195
Ⅵ. 기록문학사적 의의 = 197
Ⅶ. 결론 = 198
4. 사행가사의 해외체험과 세계관 : 〈일동장유가〉와 〈병인연행가〉
Ⅰ. 서론 = 203
Ⅱ. 사행가사의 존재론적 근거 = 205
Ⅲ. 두 작품의 관계 = 209
Ⅳ. 〈일동장유가〉와 화이관 변질의 가능성 = 213
Ⅴ. 〈병인연행가〉와 화이관 표출의 관습성 = 226
Ⅵ. 결론 = 237
5. 조선조 국문 사행록의 흐름
Ⅰ. 서론 = 243
Ⅱ. 자료들의 성격 및 관계 = 246
Ⅲ. 기록의 내용과 기록자의 현실인식 = 250
1. 굴욕적 외교현장의 피맺힌 육성 = 250
2. 자아각성을 통한 대청 적개심과 화이관의 극복 = 253
3. 자아각성ㆍ화이관의 극복ㆍ북학의 당위성 고취 = 262
4. 세계의 정밀한 묘사와 자아인식 = 269
Ⅳ. 연행록 서술의 통시적 연관성 = 274
Ⅴ. 결론 = 279
6 연행 길, 고통의 길, 그러나 깨달음의 길
Ⅰ. 서론 = 285
Ⅱ. 연행노정과 삼산 = 288
Ⅲ. 삼산의 외연과 내포 = 298
1. 이념적 정체성 회복의 성소(聖所), 그 제의적 공간 : 수양산 = 298
2. 깨달음을 통한 새로운 세계로의 진입, 그 입사의 공간 = 308
1) 의무려산 = 308
2) 천산 = 316
Ⅳ. 결론 = 321
참고문헌 = 324
Summary = 331
찾아보기 = 340
인명 찾아보기 = 346
(목차 정보: 국립중앙도서관 제공)
더보기 닫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