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책머리에 = ⅸ
1장 연구의 개요 = 1
1. 연구의 배경과 목적 = 1
2. 자료와 방법 = 4
3. 보고서의 구성 = 9
I. 인구와 공동체의 변화 = 13
2장 조선족 인구의 추세 : 인구조사 자료의 분석 = 15
1. 들어가는 말 = 15
2. 인구의 성장 = 16
3. 출산력 저하 = 18
4. 인구의 지역분포 = 23
...
더보기
목차 전체
책머리에 = ⅸ
1장 연구의 개요 = 1
1. 연구의 배경과 목적 = 1
2. 자료와 방법 = 4
3. 보고서의 구성 = 9
I. 인구와 공동체의 변화 = 13
2장 조선족 인구의 추세 : 인구조사 자료의 분석 = 15
1. 들어가는 말 = 15
2. 인구의 성장 = 16
3. 출산력 저하 = 18
4. 인구의 지역분포 = 23
5. 조선족 인구의 도시화와 도시로의 이동인구 = 27
6. 맺는 말 = 32
3장 조선족의 대이동과 공동체의 변화 : 현지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= 35
1. 문제의 배경 = 35
2. 연변지역 = 39
3. 요녕 심양지역 = 44
4. 흑룡강성 = 52
5. 산동성 청도 = 58
6. 맺는 말 = 63
II. 떠오르는 과제 = 67
4장 가족의 분산과 해체 : 흑룡강 KS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= 69
1. 들어가는 말 = 69
2. 농촌 가족분산의 현황 = 70
3. 가족분산의 인구학적 특성과 결과 = 72
4. 가족분산과 거주양식의 변화 = 78
5. 이주자들의 가족생활 = 83
6. 가족의 해체 = 86
7. 맺는 말 = 91
5장 교육과 조선족사회의 위기 = 95
1. 조선족에 있어서 교육의 의미 = 95
2. 학생수 감소와 조선족 학교교육 = 99
3. 학교교육 환경의 변화 = 105
4. 가족분산과 자녀교육 = 109
5. 맺는 말 = 116
6장 사회적 환경과 정체성 = 119
1. 이민사회와 정체성 = 119
2. 식민지시대의 '조선인' 정체성 = 121
3. 신중국의 건설과 '조선족 정체성'의 등장 = 123
4. 민족 정체성과 모국의식 = 127
5. 사회변동과 정체성 위기 = 132
6. 새로운 환경과 새로운 정체성 = 134
7. 맺는 말 = 140
III. 다양한 모습들 = 145
7장 한국조선족 노동자 집단의 형성 : 심층면접 자료의 분석 = 147
1. 연구의 배경 = 147
2. 조선족 집단형성의 배경 = 151
3. 조선족 한국 진출자의 특성 = 155
4. 이동자의 중국에서의 역정 = 158
5. 이동의 주요 요인 = 163
6. 입국경로 = 167
7. 입국비용 = 170
8. 맺는 말 = 172
8장 연변조선족사회 속의 여성들 : 참여관찰 및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= 177
1. 들어가는 말 = 177
2. 급변하는 연변 조선족사회의 여성 = 179
3. 조선족 여성 피면접자의 기본 특성 = 183
4. 연변 조선족 여성의 심층면접 자료분석 = 185
5. 맺는 말 = 205
9장 한국 안의 조선족 여성들 : 심층면접 자료를 중심으로 = 207
1. 들어가는 말 = 207
2. 연구대상 개괄 209
3. 한국 조선족 여성의 심층면접 자료분석 = 211
4. 중국과 한국의 조선족 여성 비교 = 225
5. 맺는 말 = 228
10장 북경의 조선족 : 개별 심층면접 자료의 분석 = 231
1. 들어가는 말 = 231
2. 조사일정 및 개요 = 232
3. 북경 조선족사회의 형성과 규모 = 234
4. 북경 조선족의 생활 = 237
5. 북경 조선족사회의 당면 문제들 = 242
6. 북경 조선족사회의 새로운 움직임들 = 250
7. 맺는 말 = 262
11장 조선족 앞날을 바라보며 = 265
1. 연구의 의미 = 265
2. 조선족 문제의 연쇄고리 = 267
3. 조선족과 한국의 만남 = 270
4. 조선족의 미래 = 273
참고문헌 = 277
찾아보기 = 283
(목차정보: 이화여자대학교도서관 제공)
더보기 닫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