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발간사
책 머리에 …
제1부 사과의 소비와 건강 기능성
제1장 사과의 소비와 마케팅 = 3
1. 머리말 = 3
2. 소비 침체와 새로운 환경의 등장 = 5
1) 침체의 늪에서 탈출하기 = 5
2) 무역환경의 악화와 친환경 사과에 대한 열망 = 7
3. 사과의 소비실태와 마케팅 전략 = 10
1) 사과 소비실태 분석 = 10
...
더보기
목차 전체
발간사
책 머리에 …
제1부 사과의 소비와 건강 기능성
제1장 사과의 소비와 마케팅 = 3
1. 머리말 = 3
2. 소비 침체와 새로운 환경의 등장 = 5
1) 침체의 늪에서 탈출하기 = 5
2) 무역환경의 악화와 친환경 사과에 대한 열망 = 7
3. 사과의 소비실태와 마케팅 전략 = 10
1) 사과 소비실태 분석 = 10
(1) 1일 1인당 공급에너지 추이 = 10
(2) 1일 1인당 영양공급량 추이 = 11
(3) 농축산물 소비량 추이 = 14
(4) 과일류 1인당 소비량 추이 = 17
(5) 아시아 국가의 주요식품 소비량 추이 = 19
(6) 과일류 가공실적 추이 = 21
2) 사과 소비 촉진을 위한 마케팅 전략 = 22
(1) 마케팅의 필요성 = 22
(2) 사과 마케팅의 컨셉은 '건강' = 24
(3) 새로운 사과 소비 캠페인 전개 = 26
4. 마무리 = 31
제2장 사과의 효능과 건강 기능성 = 34
1. 머리말 = 34
2. 사과의 다양한 성분과 효능 = 37
1) 과일의 다양한 맛 = 37
(1) 과일의 색깔 = 38
(2) 과일의 맛 = 38
(3) 감미 성분 = 39
(4) 산미 성분 = 40
2) 사과의 일반적 성분 = 40
(1) 당분 = 40
(2) 유기산 = 41
(3) 무기 성분 = 41
(4) 아미노산 = 41
(5) 향기 성분 = 42
(6) 사과의 주요성분 함량 = 42
3) 사과의 기능성 성분 = 45
(1) 폴리페놀류 = 46
(2) 솔비톨 = 47
(3) 아미구타린 = 47
(4) 금후 연구방향 = 47
4) 사과 식이섬유의 기능 = 49
5) 사과의 영양적·생리적 특성 = 52
(1) 비타민 C의 공급원 = 53
(2) 비타민 B의 공급원 = 56
(3) 미네랄의 공급원 = 57
(4) 체내 수분의 공급원 = 57
(5) 체액과 혈액의 pH조절 기능 = 58
(6) 식이섬유의 공급원 = 59
(7) 2차 대사물질 = 60
3. 사과의 영양학적 우수성과 가치 = 61
1) 알려지지 않은 효능과 우리의 연구현황 = 61
2) 사과의 영양 = 65
(1) 왜 우수한 식품일까? = 65
(2) 영양학적 가치는 무엇인가? = 65
(3) 미국 사과의 영양성분 연구결과 = 69
3) 사과는 왜 우리 몸에 좋은가? = 70
(1) 사과는 질병을 물리친다 = 70
(2) 사과의 보이지 않는 효과 = 71
(3) 사과로 다이어트 하기 = 73
4. 사과의 질병예방 및 치료기능 = 75
1) 암의 치료 및 예방 = 76
(1) 전립선암의 경우 = 76
(2) 직장암과 간암의 경우 = 76
(3) 간암 예방의 경우 = 77
(4) 폐암의 경우 = 78
(5) 결장암의 경우 = 79
(6) 대장암의 경우 = 80
2) 폐질환의 치료 및 예방 = 81
(1) 천식의 경우 = 81
(2) 폐 기능의 경우 = 82
(3) 만성 폐색성 폐질환(COPD)의 경우 = 83
(4) 흡연 피해 해독의 기능 = 83
(5) 어린이 천식(child asthma)의 경우 = 84
3) 심혈관 질환의 치료 및 예방 = 86
(1) LDL 산화의 경우 = 86
(2) LDL 산화와 식물성 영양소 = 87
(3) 관상동맥질환의 사망률 = 88
(4) 고지혈증의 경우 = 88
(5) 동맥경화 예방 = 89
4) 뇌졸중의 치료 및 예방 = 90
(1) 혈전증에 의한 뇌졸중(Thrombotic Stroke) = 90
(2) 소금 과다섭취로 인한 뇌졸중 = 92
5) 비만과 다이어트 = 93
6) 기타 질환에 대한 연구 성과 = 94
(1) 만성질환의 경우 = 94
(2) 당뇨병의 경우 = 94
(3) 변비의 예방 및 치료 = 95
(4) 감기 예방의 경우 = 95
(5) 피부 미용의 경우 = 96
5. 마무리 = 96
제3장 사과 소비의 실태와 교육·홍보의 필요성 = 99
1. 머리말 = 99
2.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사과 소비실태 = 101
1) 사과 소비 조사의 전개 = 101
(1) 조사대상자와 조사지역의 분포 = 101
(2) 소득계층과 사과 소비 = 102
(3) 사과 소비의 소득탄력성 추계 = 104
2) 대도시 소비자의 사과 소비행태 = 105
(1) 사과 소비의 횟수는? = 106
(2) 사과를 먹는 까닭은? = 108
(3) 사과의 구매장소는? = 113
(4) 소득변동에 따른 사과 소비의 변화 = 117
(5) 가장 선호하는 사과의 맛은? = 121
(6) 어떠한 사과품종을 선호하는가? = 123
3) 우리나라 사과 소비의 발전방향 = 127
3. 사과 소비를 어떻게 홍보할 것인가? = 129
1) 사과 소비와 영양교육의 과제 = 129
2) 사과의 건강 기능성과 소비증대 = 131
3) 친환경 재배와 사과 홍보행사의 추진 = 134
(1) 사과 소비증대의 필요성 = 134
(2) 친환경 사과 재배기술의 활용 = 135
(3) 사과 아가씨 선발과 사과 소비 = 136
4. 미국의 사과 소비 캠페인에서 배우자 = 137
1) 사과 소비 캠페인의 다양한 방법들 = 138
(1) 「5 A day」 슬로건의 제시 = 138
(2) Web을 이용한 자료 제공 = 138
(3) 홍보용 책자를 통한 캠페인 = 139
(4) 사과기념일 제정을 통한 홍보 = 140
2) 다양한 교육방법을 통한 캠페인 = 141
(1) 미취학 어린이를 위한 색칠하는 책자 제공 = 141
(2)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영양교육 = 143
(3)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영양교육 = 143
(4) 뉴스레터를 이용한 일반인 교육 = 144
5. 우리 사과 소비 교육과 홍보, 어떻게 할까? = 145
제4장 미국 '하루에 다섯 번 운동'의 도입 = 148
1. 머리말 = 148
2. '하루 다섯 번 운동'의 개념과 내용 = 149
1) '하루 다섯 번 운동'의 기원과 전개 = 149
2) 다섯 색깔 무지개 = 151
(1) 자주색 과일·채소의 효능과 종류 = 151
(2) 녹색 과일·채소의 효능과 종류 = 152
(3) 흰색 과일·채소의 효능과 종류 = 153
(4) 오렌지색 과일·채소의 효능과 종류 = 153
(5) 빨간색 과일·채소의 효능과 종류 = 154
3) '하루 다섯 번 운동'의 실천방법 = 154
(1) 실천 기본량 = 155
(2) 연령별·칼로리별 실천량 = 155
(3) 보다 쉬운 실천 방법 = 156
3. '하루 다섯 번 운동'의 과학적, 정책적 방법 = 157
1) '하루 다섯 번 운동'의 과학적 근거 = 157
(1) 다이어트와 암의 관련성 = 157
(2) 과일과 채소, 암의 관련성 = 157
2) '하루 다섯 번 운동'의 정책적 배경 = 159
3) '하루 다섯 번 운동'의 전국적 확산과정 = 161
(1) 대중매체의 지대한 역할 = 161
(2) 지역사회의 각종 건강증진 실험 = 162
4. '하루 다섯 번 운동'의 지역단위 실천 프로그램 = 163
1) 운동 참여단체의 구조와 성장 = 165
(1) 주 정부의 허가를 받은 단체 = 165
(2) 각 운동단체들의 협력 시스템 = 166
(3) 협력조직 = 167
2) 기타 연방정부의 파트너들 = 168
(1) 군부대 서비스 기관(U.S. Uniformed Services) = 169
(2) 인디언 건강서비스 기관(IHS) = 170
3) '하루 다섯 번 운동'의 추진자원 = 171
(1) 재정 - 연방 지원 시스템 = 171
(2) 재정 - 비연방 지원 시스템 = 171
(3) 비재정 - 연방 지원 시스템 = 172
5. '하루 다섯 번 운동'의 발전방향 = 172
제2부 사과의 재배 및 저장관리
제5장 키낮은 사과원의 유목기 관리 = 179
1. 머리말 = 179
2. 정식 후 묘목의 고사 = 180
1) 묘목 고사 증상 = 180
2) 고사의 원인과 대책 = 181
(1) 불량 묘목의 생산 = 181
(2) 묘목의 수확, 가식 및 수송 = 184
(3) 재식 및 재식 후의 관리 = 185
(4) 기상에 문제가 있을 경우 = 186
3. 접목부의 적정 노출과 두둑 재식 = 186
4. 유공파이프를 이용한 배수 = 188
5. 동해의 발생 = 189
1) M9 대목의 내동성 = 189
2) 동해의 유형 = 190
(1) 동·건조해 = 190
(2) 수액의 동결 = 191
(3) 지접부 동해의 주원인과 증상 = 192
3) 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= 197
(1) 시기 = 197
(2) 저온 요구도 = 198
(3) 화기와 과일의 발달 단계 = 198
(4) 이전의 온도 조건 = 199
4) 동해 경감 대책 = 200
(1) 적정 입지의 선정과 품종의 선택 = 200
(2) 수령과 묘목의 손질 = 201
(3) 시비와 지표면 관리 = 202
(4) 결실 조절로 수세 유지 = 203
(5) 혹한기가 지난 이후의 전정 = 203
(6) 지접부에 흰색 수성페인트를 칠하거나 단열재로 피복 = 204
(7) 땅이 얼기 전, 풀린 후 충분한 관수 = 204
(8) 동해를 입었을 경우 = 204
6. 질소비료의 지나친 시용 = 205
1) 시비량을 줄여야 하는 이유 = 205
2) 적정 시비량 = 208
3) 질소가 과다할 경우의 대책 = 210
4) 질소가 부족할 경우의 대책 = 211
7. 수분관리 = 213
1) 생육시기별 수분관리 요령 = 213
(1) 발아-만개 후 45일 = 213
(2) 6-7월 = 213
(3) 8월 이후 = 214
2) 점적 관수의 장단점 = 214
3) 점적 관수시 염두에 두어야 할 점 = 215
8. 마무리 = 217
제6장 사과의 수확전 낙과방지 체계 = 219
1. 리테인의 낙과방지 효과 불안정성의 원인 추정 = 219
1) 수확전 낙과방지제 이용과 문제점 = 219
2) 낙과방지제, 리테인의 등장 = 220
3) 리테인 사용에 따른 문제점 = 221
(1) 실태조사 = 221
(2) 현장 관찰결과와 의견들 = 222
4) 리테인의 불안정성 원인 = 222
(1) 살포시기 = 223
2. 리테인 살포적기 판단지표 개발 = 227
1) '쓰가루' 품종의 리테인 살포시기 및 농도의 영향 = 227
(1) 수확전 낙과정도 = 227
(2) 리테인 살포일 전후의 과일발육 상황 = 228
(3) 요약 = 232
3. 전분반응지수를 이용한 낙과방지 효과 = 232
1) 재료 및 방법 = 233
2) 시험결과 = 234
(1) 리테인 살포일 전후의 과일발육상황 = 234
(2) 리테인 살포에 따른 수확전 낙과방지 효과 = 236
(3) 리테인 살포에 따른 수확 과일의 품질 = 236
(4) 리테인 살포에 따른 전분반응지수, 호흡량, 에틸렌 발생 = 237
4. 마무리 = 238
제7장 CA저장의 현황 및 발전방향 = 241
1. CA저장의 일반현황과 역사 = 241
1) CA저장의 일반현황 = 241
2) CA저장의 역사 = 245
2. CA냉장고의 기술적 고려사항 = 247
1) 농산물의 저장생리 파악 = 248
2) 건물의 기밀유지 = 248
3) 냉각 시스템 = 249
3. CA저장의 특징 = 250
1) 질소발생장치 = 252
2) 탄산가스 제거장치 = 253
3) 에틸렌가스 제거장치 = 254
4) 대기농도 측정 조절장치 = 254
(1) O₂농도 측정장치 = 254
(2) CO₂농도 분석장치 = 255
4. CA저장산업의 향후 전망 = 255
1) 기술개발 요인 = 255
2) 한국형 CA저장시스템 기술기반 구축 = 257
3) CA저장산업의 향후 전망 = 259
5. 저장 후 유통방법 = 260
1) 저온CA저장 후 상온유통 = 261
2) 저온저장 후 유통방법 개선 = 262
3) 출하시 결로방지 방법 = 263
참고문헌 = 264
찾아보기 = 274
(목차 정보: 국립중앙도서관 제공)
더보기 닫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