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서문 = ⅴ
번역에 부쳐 = ⅵ
감수의 글 = ⅶ
PART Ⅰ 내시경 검사에 필요한 기초지식
1. 내시경 기기의 구조 = 3
1. 비디오 시스템 = 3
2. 전자 내시경 기기의 구조 = 4
3. 내시경의 종류 = 6
memo : 내시경의 세척ㆍ소독에 관하여 = 8
2. 소화기 내시경 검사의 적응과 금기 = 10
1. 상부 소화관 내시경...
더보기
목차 전체
서문 = ⅴ
번역에 부쳐 = ⅵ
감수의 글 = ⅶ
PART Ⅰ 내시경 검사에 필요한 기초지식
1. 내시경 기기의 구조 = 3
1. 비디오 시스템 = 3
2. 전자 내시경 기기의 구조 = 4
3. 내시경의 종류 = 6
memo : 내시경의 세척ㆍ소독에 관하여 = 8
2. 소화기 내시경 검사의 적응과 금기 = 10
1. 상부 소화관 내시경 검사의 적응과 금기 = 10
2. 대장 내시경 검사의 적응과 금기 = 10
3. 내시경적 역행성 담관 췌관 조영검사(ERCP)의 적응과 금기 = 11
PART Ⅱ 상부 소화관 내시경 검사
1. 내시경 검사에 필요한 해부 지식 = 15
1. 식도 = 15
2. 위 = 18
3. 십이지장 = 20
2. 내시경의 기본조작(원운동의 조작법) = 22
1. 내시경을 원운동시키기 위한 조작법 = 22
3. 상부 소화관 내시경 검사 전 처치 = 27
1. 검사 전의 식사 제한 = 27
2. 검사 전의 전 처치 = 27
3. 내시경 검사를 실시하는 자세 = 28
4. 진정제ㆍ진통제를 이용한 내시경 검사 = 30
1. 진정제의 약리학적 특성 = 30
2. 진통제의 약리학적 특징 = 32
3. 피검사자의 신체 상태 평가와 검사중 모니터링 = 33
4. 진정제ㆍ진통제의 길항제 = 34
memo : 진정하의 검사에 있어서 혈관확보 = 35
5-1. 내시경 검사의 실제 - 40컷에서의 촬영법 = 36
1. 삽입 전에 기기 체크!! = 36
2. 삽입 = 36
3. 식도의 촬영 = 37
4. 위의 촬영 = 38
memo : 위궁륭부에서 내시경이 반전하여 루프를 만들어버려, 위 전정부에 들어가지 않아... = 45
memo : 반전관찰... J턴과 U턴에 대하여 = 47
memo : 상부 소화관 내시경 검사의 적절한 송기에 대하여 = 49
5-2. 내시경 검사의 실제 - 20컷에서의 촬영법 = 50
1. 식도의 촬영 = 50
memo : 식도의 사진 촬영에 대해 = 51
2. 위의 촬영 = 52
6. 색소 검사법과 생검 검사법 = 57
1. 색소 내시경 검사법 = 57
memo : 깨끗한 색소(인디고칼민)내시경 상을 촬영하는 요령 = 58
2. 생검 검사법 = 61
PART Ⅲ 하부 소화관 내시경 검사
1. 대장의 해부 = 67
1. 대장의 기본 주행ㆍ구분 = 67
2. 대장암 취급 규약에 의한 대장의 구분 = 68
3. 대장 각부의 해부 = 69
4. 대장의 3차원 해부 = 72
5. 대장의 고정점 = 74
2. 대장 내시경 검사의 적응ㆍ금기 = 76
1. 대장 내시경 검사의 적응과 목적 = 76
2. 대장 내시경 검사의 금기 = 76
3. 대장 내시경 검사의 준비 = 78
1. 전 처치의 실제 = 78
2. 전 투약의 고려방법과 포인트 = 79
4. 삽입의 실제 = 81
1. 항문으로부터 Rb로의 삽입 = 81
memo : 대장 내시경의 마음의 준비 = 81
2. Rb로부터 Ra에의 삽입 = 84
memo : 휴스턴 판의 형태 = 84
3. Rs에의 삽입 = 86
memo : 화면이 붉게 보일 경우의 주의점 = 90
4. Rs로부터 SDJ로의 삽입 = 92
5. 각종루프의 해소 = 94
memo : 자세변환은 어떻게 행하는가 = 96
6. 하행 결장으로부터 비만곡부까지의 삽입 = 100
memo : 장관천공의 방지 = 102
memo : 대장내시경 삽입의 연습법 = 104
7. 비만곡부로부터 간만곡부까지의 삽입 = 106
memo : 내시경삽입시의 공기량은? = 110
memo : 체위변환에 의한 비만곡부의 형상 변화 = 112
8. 상행 결장으로의 삽입 = 115
PART Ⅳ 내시경 치료
1. 내시경 치료에 필요한 처치도구 = 119
1. 처음으로 = 119
2. 내시경 본체에 장착하는 것 = 119
3. 내시경 삽입을 도와주는 것 = 120
4. 겸자구 내에 삽입하는 것 = 121
5. 절개ㆍ박립법(endoscopic eubmucosal dissection : ESO법)으로 이용하는 것 = 122
2. 이물 제거 = 124
1. 이물의 종류 = 124
2. 식도의 해부 = 125
3. 이물 제거의 방침 = 125
4. 이물 제거에 이용하는 처치도구 = 126
5. 이물 제거의 실제 = 128
3-1. 소화관 출혈의 지혈 처치 - 치료를 생각하는 방식 = 130
1. 처음으로 - 내시경적 지혈의 자리 매김 = 130
2. 환자의 전신 상태나 출혈 상태를 파악 = 131
3. 내시경 지혈의 준비 = 132
4. 내시경지혈 처치 = 133
5. 외과적 처치의 시기 = 134
3-2. 소화관 출혈의 지혈 처치 - 지혈 처치의 실제 = 135
1. 위궤양으로부터의 출혈(클립법) = 135
2. 위궤양으로부터의 출혈(HSE 국소주사법) = 138
3. 위궤양으로부터의 출혈(순에탄올 국소주사 법) = 139
4. 십이지장궤양으로부터의 출혈(attachment + 클립법) = 140
5. 암으로부터의 출혈 = 141
6. 대장게실로부터의 출혈(attachment + 클립법) = 143
memo : 클립의 장착법과 시행 시 조작법에 대하여 = 145
4-1. 정맥류의 내시경 치료 - 알아두어야 할 해부지식과 병태 = 149
1. 문맥압 항진증을 나타내는 병태 = 149
2. 정맥류의 혈행 동태 = 149
3. 내시경 소견 = 152
4-2. 정맥류의 내시경 치료 - 병태에 따른 정맥류 치료를 생각하는 방식과 진행방법 = 155
1. 잔여 간기능의 평가 = 155
2.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 = 157
3. IVR(Interventional Radiology)를 이용한 치료 = 163
4-3. 정맥류의 내시경 치료 - 정맥류 치료의 실제 = 165
1. 내시경적 경화 요법의 실제 = 165
2.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술의 실제 = 168
3. 준비 요법으로서의 APC 응고법 = 169
5-1.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(EMR) - 알아두어야 할 EMR의 종류와 특징 = 170
1.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(EMR)이란 = 170
2. 여러 가지 EMR법을 이해하자 = 170
3. 각종 EMR법의 장점과 결점 = 174
5-2.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(EMR) - 상부 소화관에 있어서의 EMR의 실제 = 180
1. 적응 = 180
2. 치료 계획 = 182
3. 합병증 = 184
4. 내시경적 점막절제의 실제 = 187
5-3.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(EMR) - 하부 소화관에 있어서의 EMR의 실제 = 193
1. 식도 = 193
2. 적응 = 194
3. 치료계획 = 195
4. 합병증 = 197
5. 내시경적 점막 절제의 실제 = 198
PART Ⅴ 상담도계의 내시경 검사(ERCP)
1. ERCP(내시경적 역행성 담관 췌관 조영)이란 = 209
1. ERCP 검사에 대해 = 209
2. ERCP의 적응ㆍ금기ㆍ우발증 = 209
3. 검사를 안전하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= 211
2. ERCP에 필요한 해부지식 = 212
1. 췌담도계의 해부 = 212
2. 십이지장 유두부의 해부 = 214
3-1. 내시경 기기 삽입의 실제〈구강~식도〉 = 216
1. 십이지장 내시경 기기의 설명 = 216
2. 내시경 기기 삽입의 요령〈구강~식도〉 = 217
3-2. 내시경 기기 삽입의 실제〈식도~십이지장구부〉 = 222
1. 식도~위까지의 내시경기기의 삽입의 흐름과 요령 = 222
2. 자주 있는 궁륭부에의 삽입 = 223
3. 전정부로부터 유문까지의 내시경기기의 움직임 = 226
3-3. 내시경 기기 삽입의 실제〈십이지장구부~하행부〉 = 227
1. 십이지장에의 내시경기기의 삽입 ① pull법 = 227
2. 내시경기기가 십이지장 하행부로 진입하는 원리 = 230
3. 십이지장으로의 내시경기기의 삽입 ② push법 = 231
4. 삽관 삽입을 위한 준비 = 233
1. 내시경기기 조작부의 위치 = 233
2. 십이지장 유두의 정면시 = 234
3. 삽관 삽입 성공의 열쇠 = 236
5. 삽관 삽입의 실제 = 238
1. 췌관에의 삽관 삽입 = 238
2. 담관으로의 삽관 삽입 = 240
6. 삽관 삽입이 곤란한 경우의 대처법 = 243
1. 삽관 삽입이 곤란한 경우의 대처법 = 243
2. 삽관의 종류 = 245
찾아보기 = 247
(목차 정보: 국립중앙도서관 제공)
더보기 닫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