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DR | | 00000cam c2200205 c 4500 |
001 | | 000000900080 |
005 | | 20160201141150 |
007 | | ta |
008 | | 141230s2014 ggk 001c kor |
020 | |
▼a 9788926861332
▼g 93360:
▼c \89000 |
040 | |
▼a 225009
▼c 225009
▼d 225009 |
082 | 04 |
▼a 341.2422
▼2 22 |
090 | |
▼a 341.2422
▼b 014 |
245 | 00 |
▼a EU 법:
▼b 법·통치구조·경제통상·식품안전·환경보호·형사공조/
▼d 김두수 지음. |
246 | 11 |
▼a European union law :
▼b Law·Governance·Economic and trade·Food safety·Environmental protection·Criminal cooperation |
260 | |
▼a 파주:
▼b 한국학술정보,
▼c 2014. |
300 | |
▼a xv, 971 p.;
▼c 27 cm. |
440 | 00 |
▼a 리걸플러스+;
▼v 118. |
500 | |
▼a 색인 수록 |
500 | |
▼a 부록: 제1부, 법과 통치구조, 제2부, 경제통상, 제3부, 식품안전 [외] |
505 | 00 |
▼t EU의 통합법제사 --
▼t EU통합상 회원국의 주권문제 --
▼t EU의 주요기관 --
▼t EU법의 법원 --
▼t EU법의 법적 성질 --
▼t 이행강제소송 --
▼t 선결적 판결 소송 --
▼t EU통합과정상 회원국 국내법원의 역할 --
▼t 상품의 자유이동 --
▼t 스웨덴에서의 상품의 자유이동 --
▼t 사람의 자유이동 --
▼t 설립의 자유 --
▼t EU의 공동통상정책과 한·EU FTA --
▼t 식품법제의 성립과 발전 --
▼t 식품법상의 과학적 기초 --
▼t 식품법상의 일반원칙들과 신속경보체제 --
▼t 유럽식품안전청의 조직구조와 역할 --
▼t EU의 생산물책임법 --
▼t 유전자변형생물체 규범체계 --
▼t 식품첨가물 규범체계 --
▼t 국제통상에서 EU 식품법의 지위 --
▼t 한국의 식품안전기본법 --
▼t 환경법제의 발전과 일반원칙 --
▼t 환경정책의 목적과 파라쾉트 사례 --
▼t 환경정책의 원칙과 고려사항 --
▼t 환경책임과 환경형법 --
▼t 유럽환경청과 환경정보관찰네트워크 --
▼t 에코라벨제도 --
▼t 환경정보공유제도 |
700 | 1 |
▼a 김두수 |
990 | |
▼a 손기순
▼b 이명균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