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
머리말 = 5
제1부 맥락
제1장 지리교육의 맥락 = 17
1. 지리교육환경의 변화 = 17
1) 변화하는 사회와 지리교육 = 17
2) 지리학과 지리교육 = 21
3) 변화하는 학습자관과 지리교육 = 21
2. 지리교육 이데올로기 = 26
3. 학생중심 지리교육의 등장 = 29
제2장 지리교육의 의미와 가치 = 35
1. 지리교육의 의미 = 35
2. 지리교육의 가치와 공헌 = 38
1) 지리교육에 대한 옹호 = 38
2) 지리교육의 가치와 공헌 = 42
3. 교육과 공간: 지리교육과 공간학습 = 52
1) 교육에 있어서 공간의 중요성 = 52
2) 공간학습으로서 지리교육 = 54
제2부 지리에 대한 교과적 이해
제3장 지리교육의 목적과 목표 = 61
1. 지리교육의 목적 = 61
2. 지리교육의 내재적 목적 및 목표 = 66
1) 지리교육의 내재적 목적 = 66
2) 지리교육의 목표에 대한 개념적 논의 = 69
3. 지리교육 목적과 상세화된 학습목표 = 75
제4장 지리교과와 지식의 구조 = 83
1. 현대교육에서 지리교과의 위치 = 83
2. 지리교과와 지식의 구조 = 89
1) 지식의 구조에 대한 논의와 지리교육 = 90
2) 지리교과의 '지식의 구조' = 92
제5장 지리교육의 심리적 기초 = 117
1. 피아제(Piaget)의 인지발달론과 지리교육 = 117
2. 피아제의 공간표상 발달론 = 122
3. 공간인지 준거체계(systems of reference) 발달이론 = 125
4. 공간포섭관계(nested hierarchical spatial relationship) 인식 = 127
5. 공간인지발달론의 종합 = 133
제6장 근대 지리교육의 형성과정 = 141
1. 한국의 근대 지리교육의 형성과정 = 141
1) 개화기의 지리교육 = 141
2) 갑오경장 이후의 지리교육 = 150
2. 서양의 근대 지리교육의 형성과정 = 154
1) 근대 교육 형성 이전의 지리교육 = 154
2) 근대 교육의 창시자 코메니우스와 지리 = 154
3) 계몽주의와 지리교육 = 164
4) 자연주의 교육사조와 지리교육 = 166
제3부 지리 교수와 학습
제7장 지리학습 = 189
1. 학습의 의미 = 189
2. 지리학습과 지리개념 = 191
1) 개념과 지리개념 = 191
2) 지리개념과 학습 = 196
3. 지리학습과 언어 = 200
제8장 지리교수의 스타일과 교수방법 = 207
1. 지리교수 스타일 = 207
2. 지리교수 방법 = 209
1) 설명식 수업 = 210
2) 탐구식 수업 = 211
제9장 지리수업의 계획 = 229
1. 지리수업에 대한 다면적 이해 = 229
2. 지리교수계획과 지식 = 230
3. 지리수업설계의 모형 = 232
1) 슬레터(Slater)의 지리수업설계의 10단계 = 232
2) 윌리암스(Williams)의 지리교수설계의 단계 = 236
제10장 지리 교수-학습 자료의 개발과 활용 = 241
1. 지리 교수-학습 자료의 의미와 활용 = 241
2. 지리 교수-학습 자료의 형태와 종류 = 245
1) 교과서 = 245
2) 지도 = 247
3) 항공 및 인공위성 영상 = 250
4) 사진과 슬라이드 = 250
3. 지리 교수-학습 자료와 ICT = 252
4. 지리 교수-학습 자료로서 교과서 개발 = 256
1) 활동중심 교과서의 개발 = 256
2) 수준별 교과서의 개발 = 261
제4부 지리교육과정
제11장 지리교육의 내용 = 273
1. 지리교육 내용의 여과틀 = 273
2. 지리교육과정에서 지리교육의 내용 = 275
3. 지리교육 내용으로서의 '지식' = 278
1) 지식의 일반적 성격에 대한 교육적 질문 = 278
2) 지식의 유형과 지리적 지식 = 279
3) 구성주의에 따른 교육과정의 '내용' 및 '지식'의 재개념화 = 284
4) 지식기반사회와 교육과정 내용으로서의 '지식' = 285
5) 지식기반사회에서 지리교육적 지식 = 288
4. 지리교육 내용으로서의 개념 = 289
1) 개념의 교육적 중요성 = 289
2) 지리교육 내용으로서 개념 = 291
5. 지리교육 내용으로서의 기능 = 300
6. 지리학의 학문적 계통과 지리교육 내용의 구조 = 306
7. 지리교육 내용으로서 가치와 태도 = 308
제12장 지리교육과정의 구성 = 313
1. 교육과정의 여러 모형들 = 313
1) 교육과정의 개념과 모형 = 313
2) 지리교육과정의 모형과 체계 = 315
2. 지리교육과정의 내용구성 방법: 선정과 조직 = 321
1) 지역적 방법 = 322
2) 계통적 방법 = 329
3) 패러다임 방법 = 337
4) 동심원적 방법 = 342
5) 구성방법의 비교 = 350
제13장 지리교육과정의 개발 사례 = 355
1. 미국의 HSGP(High School Geography Project) = 356
2. 영국의 지리 14-18 = 360
3. 미국의 지리교육공동위원회의 『지리교육지침서』 = 364
1) 『지리교육지침서』의 등장배경 = 364
2) 『지리교육지침서』의 개발 = 366
3) 『지리교육지침서』 이후의 후속작업들 = 375
4. 영국의 국가교육과정(National Curriculum) = 380
1) 영국 국가교육과정 개발의 배경 = 380
2) 영국의 국가지리교육과정의 분석 = 382
3) 영국지리교육학회(GA)의 대안적 지리교육과정안 = 392
제5부 지리평가
제14장 지리평가의 목적과 쟁점 = 401
1. 평가에 대한 일반적 이해 = 401
1) 평가의 의미와 평가의 과정 = 401
2) 평가의 과정 = 402
3) 평가의 방법 = 405
4) 평가방법 및 도구의 평가기준 = 406
2. 지리평가의 목적 = 409
3. 지리평가에 대한 새로운 인식 = 412
4. 지리교육과정과 지리평가 = 415
제15장 지리평가 목표의 설정과 상세화 = 421
1. 지리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= 421
2. 지리학습 평가목표의 설정 = 425
3. 지리 평가목표의 상세화 = 427
제16장 지리 지필평가문항의 개발 = 431
1. 평가문항의 유형 = 431
2. 지필평가문항 개발의 이론적 토대 = 433
3. 지필평가문항의 개발 = 435
1) 선택반응 문항 또는 선택형 문항의 개발 = 436
2) 구성반응 문항 또는 서답형 문항 = 443
3) 탐구형 평가문항의 개발 = 447
제17장 지리수행평가 = 453
1. 수행평가의 필요성 = 453
2. 수행평가의 성격 = 457
3. 수행평가의 계획과 여러 가지 도구들 = 460
1) 수행평가의 여러 도구들 = 460
2) 프로젝트 중심 수행과제 및 수행평가의 구성 과정 = 462
3) 포트폴리오 평가 = 466
4. 수행평가 도입의 효과와 문제점 = 466
5. 수행평가 과제 개발의 사례 = 468
1) 사례 1 = 468
2) 사례 2 = 470
3) 사례 3 = 471
제18장 지리학업성취 프로파일의 작성 = 477
1. 지리평가 프로파일(Profile)의 필요성과 의의 = 477
2. 프로파일의 형태와 내용 = 479
3. 지리 프로파일(Profile)의 평가기록과 프로파일 만들기(profiling) = 480
4. 프로파일의 구성 = 481
5. 지리 프로파일 틀의 구성 사례 = 483
1) 지리교육 목적의 검토 = 483
2) 평가목표의 설정 = 484
3) 지리평가 목표의 상세화 = 485
4) 지리 프로파일 작성의 사례 = 486
제6부 지리교육연구
제19장 지리교과교육 연구의 영역과 방법 = 497
1. 지리교육연구의 필요성 = 497
2. 지리교육연구의 영역 = 500
1) 월포스(Wolforth)의 교접면 중심의 영역분류 = 500
2) 힐(Hill)과 던(Dunn)의 과정적 접근에 의한 영역분류 = 502
3) 연구결과 중심의 경험적 접근에 의한 영역분류 = 503
4) 규범적 접근을 통한 지리교육연구 영역의 분류 = 507
3. 지리교과교육학의 구조 = 511
1) 교육의 과정과 지리교과교육학의 구조 = 511
2) 교과교육연구의 다차원성과 지리교과교육학의 구조 = 512
4. 지리교과교육 연구의 연구유형과 연구방법 = 514
1) 지리교과교육 연구의 연구유형 = 514
2) 지리교과교육 연구의 연구방법 = 517
제20장 지리교육연구의 동향 = 525
1. 국내 지리교과교육 연구의 동향 = 525
1) 지리교육의 시대별 발달과정 = 525
2) 지리교육연구의 연구영역별 연구동향 = 533
3) 지리교육연구의 중요 쟁점들 = 557
2. 국외 지리 교과교육 연구의 자료와 연구동향 = 562
1) 영연방 = 562
2) 독일 = 565
3) 미국 = 566
4) 일본 = 568
5) 국제학술단체를 통한 지리교육연구 = 571
찾아보기 = 580

(목차정보: 국립중앙도서관 제공)

닫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