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
시리즈 머리말 = xi
들어가는 말 = xiii
역자서문 = xxv
저자서문 = xxix
감사의 글 = xxxi
"마음盲"이란 용어에 대하여 = xxxv
01 마음盲과 마음읽기 = 1
02 진화심리학과 사회적 체스 게임 = 13
1 진화심리학이란 무엇인가? = 13
2 진화적 적응의 사회적 환경 = 19
3 사회적 체스 게임 = 25
03 마음읽기 : 자연의 선택 = 29
1 마음읽기에 대안이 되는 것은 어떤 것들인가? = 31
2 마음읽기와 의사소통 = 38
04 마음읽기 발달 : 네 단계 = 45
1 지향성 탐지기(ID) = 47
2 시선 탐지기(EDD) = 57
3 양자간 표상 = 63
4 주의 공유 기제(SAM) = 65
5 EDD와 SAM의 관계 = 68
6 SAM, ID 및 EDD 간의 관계 = 71
7 마음이론 기제(ToMM) = 74
8 네 가지 마음읽기 기제들 간의 관계 = 81
9 단원성과 마음읽기 = 83
05 자폐증과 마음盲 = 87
1 자폐증에 대한 간단한 소개 = 89
2 자폐증과 ID = 93
3 자폐증과 EDD = 95
4 자폐증과 SAM = 97
5 자폐증과 ToMM = 102
6 선천적인 시각장애를 가지는 아동과 성인의 ToMM = 121
06 뇌는 어떻게 마음을 읽는가? = 123
1 내성 기관 = 124
2 EDD와 뇌 = 128
3 ToMM과 뇌 = 131
4 ID, SAM, 뇌 = 133
5 자폐증과 뇌 = 134
6 "사회적 뇌"라는 생각 = 137
07 눈이 전달하는 언어 = 139
1 EDD의 진화 = 140
2 EDD와 SAM의 기능 : 우리는 동일한 대상을 함께 보고 있나? = 146
3 인간에서 EDD와 SAM = 149
08 마음읽기 : 미래로 돌아가기 = 173
1 인간이 아닌 다른 동물에서의 마음읽기 = 174
2 마음읽기 연구에서 현재와 미래의 쟁점들 = 183
3 마음盲은 극복될 수 있을까? = 199
참고문헌 = 205
찾아보기 = 221

(목차정보: 국립중앙도서관 제공)
닫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