책머리에 = 4 1부 소설 형식의 성립 과정 나말여초 전기(傳奇)의 '욕망의 형식화'에 대하여 : 초기 소설의 성립 과정에 주목하여 = 15 1. 문제의 실상 = 15 2. 욕망의 몇 가지 양상과 처리 방향 = 18 3. 그 형식화의 원리 - 사유의 두 지점, 불교와 도교 = 28 4. 여언(餘言) - 결론을 대신하여 = 37 『금오신화』와 『전등신화』의 지향과 구현화 원리 = 43 1. 초기 소설사에서의 『금오신화』 = 43 2. 『금오신화』와 『전등신화』의 지향 = 45 3. 그 구현화 원리 - 이계 체험을 통한 지향의 표출 방식 = 57 4. 향후 소설사의 향방과 관련하여 = 67 「설공찬전」파동과 16세기 소설 인식의 추이 = 73 1. 금서(禁書)와 소설 = 73 2. 16세기 벽두에 터진 「설공찬전」 파동 = 74 3. 소설 인식의 변화와 그 향방 = 85 4. 새로운 이해가 요구되는 16세기 소설사 = 93 보론 - 『전등신화구해』의 간행과 의미 = 94 전란 소재 애정전기소설의 성립과 발전에 대한 시론 : 「취취전(翠翠傳)」과 「이생규장전(李生窺墻傳)」을 중심으로 = 105 1. 서사화의 길, '전란' = 105 2. 전란 소재 애정전기소설의 성립 - 「유씨전」에서 「취취전」으로 = 107 3. 「취취전」과 「이생규장전」 = 113 4. 「이생규장전」에서 16~17세기 애정전기소설로 = 123 5. 마무리 = 133 전기소설 삽입시의 미감 : 초기 소설의 양식화와 그 서사적 맥락에 대한 지표로써 = 139 1. 산문ㆍ시가의 결합체 전기소설 = 139 2. 절제와 내면화의 비감 - 「최치원」→『금오신화』 = 142 3. 현실의 불예측성에 따른 인물의 성격 창조 - 『금오신화』→「주생전」ㆍ「운영전」 = 151 4. 이후의 구도 - 초기 소설 양식 변화의 예로써 = 159 2부 소설시대를 위한 내외적 환경 17세기 초 소설에 미친 원명전기소설의 영향에 대하여 = 169 1. 비교 연구의 현실 = 169 2. 원명전기소설의 조선 유입 = 172 3. 17세기 초 소설의 구조와 원명전기소설의 영향 = 179 4. 새로운 과제 = 191 17세기 실기류와 소설의 거리 = 199 1. 허구성의 재론 가능성 = 199 2. 17세기 실기류와 소설의 관련 양상 = 202 3. 실기(實記)의 기술(記述)과 소설의 형상(形像) = 205 4. 새로운 가능성과 또 다른 문제 = 219 16~17세기 동아시아 전란과 애정전기소설 = 226 1. 새로운 소설적 환경 = 226 2. 16~17세기 전란 체험과 소설적 투영 - 실기류와 애정전기소설과의 관련성 = 229 3. 전란 소재 애정전기소설의 서사구조와 그 특징 = 238 병자호란 시기 강화 관련 실기류 및 「강도몽유록」 = 254 1. 전란과 강화(江華) = 254 2. 병자호란시 강도(江都) 관련 자료 = 257 3. 강도(江都)의 참상 = 260 4. 병자호란 관련 실기류의 행방 - 17세기 이후 소설에 포착된 병자호란 = 274 5. 에필로그 = 278 3부 17세기 전기소설의 면모와 전변 16세기 후반 17세기 전반 사상사의 흐름 속에서 본 「운영전」: 「운영전」의 사상적 기반에 대한 시론 = 287 1. 왜 다시 「운영전(雲英傳)」인가? = 287 2. 16세기 후반 17세기 전반 사상사의 흐름과 문풍(文風)의 변화 = 289 3. 「운영전」 다시 읽기 = 295 4. 「운영전」의 사상적 기반 = 305 5. 남는 문제 = 312 「동선기」의 지향과 소설사적 의미 = 318 1. 들어가며 = 318 2. 창작 배경과 시기 = 319 3. 현실과 이상, 그 어긋남의 교직(交織) = 326 4. 17세기 소설 전변의 면모로서의 「동선기」 = 333 5. 나오며 = 340 17세기 번안ㆍ개작 전기소설의 면모 : 「왕십붕기우기(王十朋奇遇記)」와 「왕경룡전(王慶龍傳)」의 경우 = 348 1. 머리말 = 348 2. 「왕십붕기우기(王十朋奇遇記)」의 경우 = 350 3. 「왕경룡전(王慶龍傳)」의 경우 = 366 4. 맺음말 = 381 전기소설의 전변과 속화 : 이후 소설사의 전개와 관련하여 = 385 1. 하나의 가능성 = 385 2. 몇 가지 변모의 증거들 = 387 3. 전기소설의 속화(俗化) = 395 4. 소설사의 이행기적 면모 - 규방소설(閨房小說)과의 관련성 = 402 찾아보기 = 4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