책머리에 = ⅸ 1장 연구의 개요 = 1 1. 연구의 배경과 목적 = 1 2. 자료와 방법 = 4 3. 보고서의 구성 = 9 I. 인구와 공동체의 변화 = 13 2장 조선족 인구의 추세 : 인구조사 자료의 분석 = 15 1. 들어가는 말 = 15 2. 인구의 성장 = 16 3. 출산력 저하 = 18 4. 인구의 지역분포 = 23 5. 조선족 인구의 도시화와 도시로의 이동인구 = 27 6. 맺는 말 = 32 3장 조선족의 대이동과 공동체의 변화 : 현지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= 35 1. 문제의 배경 = 35 2. 연변지역 = 39 3. 요녕 심양지역 = 44 4. 흑룡강성 = 52 5. 산동성 청도 = 58 6. 맺는 말 = 63 II. 떠오르는 과제 = 67 4장 가족의 분산과 해체 : 흑룡강 KS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= 69 1. 들어가는 말 = 69 2. 농촌 가족분산의 현황 = 70 3. 가족분산의 인구학적 특성과 결과 = 72 4. 가족분산과 거주양식의 변화 = 78 5. 이주자들의 가족생활 = 83 6. 가족의 해체 = 86 7. 맺는 말 = 91 5장 교육과 조선족사회의 위기 = 95 1. 조선족에 있어서 교육의 의미 = 95 2. 학생수 감소와 조선족 학교교육 = 99 3. 학교교육 환경의 변화 = 105 4. 가족분산과 자녀교육 = 109 5. 맺는 말 = 116 6장 사회적 환경과 정체성 = 119 1. 이민사회와 정체성 = 119 2. 식민지시대의 '조선인' 정체성 = 121 3. 신중국의 건설과 '조선족 정체성'의 등장 = 123 4. 민족 정체성과 모국의식 = 127 5. 사회변동과 정체성 위기 = 132 6. 새로운 환경과 새로운 정체성 = 134 7. 맺는 말 = 140 III. 다양한 모습들 = 145 7장 한국조선족 노동자 집단의 형성 : 심층면접 자료의 분석 = 147 1. 연구의 배경 = 147 2. 조선족 집단형성의 배경 = 151 3. 조선족 한국 진출자의 특성 = 155 4. 이동자의 중국에서의 역정 = 158 5. 이동의 주요 요인 = 163 6. 입국경로 = 167 7. 입국비용 = 170 8. 맺는 말 = 172 8장 연변조선족사회 속의 여성들 : 참여관찰 및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= 177 1. 들어가는 말 = 177 2. 급변하는 연변 조선족사회의 여성 = 179 3. 조선족 여성 피면접자의 기본 특성 = 183 4. 연변 조선족 여성의 심층면접 자료분석 = 185 5. 맺는 말 = 205 9장 한국 안의 조선족 여성들 : 심층면접 자료를 중심으로 = 207 1. 들어가는 말 = 207 2. 연구대상 개괄 209 3. 한국 조선족 여성의 심층면접 자료분석 = 211 4. 중국과 한국의 조선족 여성 비교 = 225 5. 맺는 말 = 228 10장 북경의 조선족 : 개별 심층면접 자료의 분석 = 231 1. 들어가는 말 = 231 2. 조사일정 및 개요 = 232 3. 북경 조선족사회의 형성과 규모 = 234 4. 북경 조선족의 생활 = 237 5. 북경 조선족사회의 당면 문제들 = 242 6. 북경 조선족사회의 새로운 움직임들 = 250 7. 맺는 말 = 262 11장 조선족 앞날을 바라보며 = 265 1. 연구의 의미 = 265 2. 조선족 문제의 연쇄고리 = 267 3. 조선족과 한국의 만남 = 270 4. 조선족의 미래 = 273 참고문헌 = 277 찾아보기 = 28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