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
머리말 = 3
서론 ; 남북한 문학 평론의 대립과 극복
Ⅰ. 남북한 문예사조론의 이질화와 극복
자연주의 문학론과 의미의 착종
1. 자연주의에 대한 심각한 오해 = 19
2. 우리나라 자연주의의 논의사 및 수용 기점론 = 20
3. 남북한에서의 자연주의와 사실주의 개념 비교 = 24
1) 과학적 실험을 첨가한 사실주의로서의 자연주의 = 24
2) 특수한 사실주의로서의 자연주의 = 26
3) 사실주의의 적으로서의 자연주의 = 28
4) 사실주의의 등가물로서의 자연주의 = 30
4. 우리 자연주의의 특성과 과학적 기반의 불비 = 31
5. 한국 자연주의 문학의 범위와 진정한 자연주의 작품 = 37
6. 결론 = 40
모더니즘론을 보는 화해 불가능한 대립
1. 연구의 논점과 관점 = 44
2. 다양한 측면의 관점과 대립 극복 = 46
1) 논의의 굴곡과 의미의 착종 = 46
3. 극단적 대립과 지양의 가능성 = 57
1) 반합리와 탈규범에의 공감 = 58
2) 현실의 반영과 반사실주의 = 62
3) 정치적 본성과 혁명 의식의 해체 = 67
4) 새로운 방법의 발견과 예술의 파괴 = 72
5) 탈근대문화론 혹은 후기 자본주의의 논리 = 74
6) 세계주의와 민족의 전통 = 78
4. 연구의 귀결과 전망 = 79
실존주의론을 보는 두 극단적 시점
1. 문제의 성격 = 83
2. 남북한 실존주의 수용 과정 및 대립 양상 = 84
1) 실존주의의 수용 과정 = 84
2) 실존주의 수용의 남북한 대립 양상 = 87
3. 결론 = 101
남북한 문예사조론의 지양ㆍ극복
1. 문제의 성격 = 106
2. 문예사조론의 근본적 문제점 = 107
1) 고전주의와 귀족 치중의 관점 = 107
2) 낭만주의와 현실적 성격의 간과 = 108
3) 현실 포착의 현실적 어려움에 새로 직면하는 사실주의 = 109
4) 극단적 개념 혼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자연주의 = 110
5) 중세기적 신비주의로 인한 문학 임무 방기와 상징주의 = 112
6) 기형과 광기만의 표현주의 = 113
7) 원천적으로 인간 탐구가 불가능한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 = 113
8) 대안 없는 개안주의와 자유를 추구한 실존주의 = 114
3. 맺는 말 = 115
남북한 소설사의 격차와 해소
1. 연구의 논점과 관점 = 116
2. 대립과 극복의 이데올로기 = 119
1) 단절론의 초월 = 119
2) 배제론의 극복 = 125
3) 정신사의 지향 = 129
4) 다양성의 확대 = 135
3. 연구의 귀결과 전망 = 138
Ⅱ. 북한 문학평론의 전형적 이념과 한계
합리적 세계관의 형상화 - 해방 이전의 안함광론
1. 서론 = 145
2. 본론 = 146
1) 세계관의 확립과 문학적 실천 = 148
2) 중간파의 획득 문제-농민문학론과 동반자 작가론 = 155
3) 절충적 리얼리즘론-창작방법론과 사회주의 리얼리즘론 = 165
4) 지성의 합리주의 옹호론 = 170
5) 개성과 보편성의 조화-전형론 및 성격론 = 177
6) 중도론적 작가 예찬-유진오론 = 181
3. 결론 = 184
형상과 전형의 창작방법 모색 - 해방 이후의 안함광론
1. 서론 = 187
2. 본론 = 188
1) 민족문학론 = 188
2) 문예학 = 195
3) 사실주의론 = 199
4) 형상과 전형론 = 204
5) 작가 작품론 = 211
6) 문학사 = 216
3. 결론 = 218
세계관의 절대 우위론 - 해방 이전의 한효론
1. 서론 = 231
2. 본론 = 233
1) 리얼리즘 내부의 논전 = 235
2) 반사실주의 논객들에 대한 비판 = 241
3) 소설과 극작에 대한 비평 = 245
4) 문단 및 문학의 총체적 비판 = 247
5) 「조선문단의 현대적 제상」 = 248
3. 결론 = 250
자연주의에 대한 반대 투쟁과 연극사의 체계화 - 해방 이후의 한효론
1. 서론 = 255
2. 본론 = 256
1) 민족문학론 및 리얼리즘론 = 256
2) 작가 작품론 = 264
3) 희곡 연극론 = 275
4) 자연주의를 반대하는 투쟁 = 278
3. 결론 = 285
숙고된 문제성과 생동하는 감정의 조화 - 엄호석론
1. 서론 = 292
2. 본론 = 293
1) 서정시론-숙고된 문제성과 생동하는 감정의 조화 = 293
2) 혁명적 대작론과 전형적 형상화 = 298
3) 사상성-계급성, 인민성, 특히 당성 = 302
4) 우리나라 사실주의 발전사와 사실주의의 실천 = 305
5) 미학적 감수성과 창작 기법론 = 309
6) 작가론의 시점과 논리 = 315
3. 결론 = 317
(목차 정보: 국립중앙도서관 제공)
닫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