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목 차> 제1장 서론 =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= 1 I. 연구의 배경 = 1 II. 연구의 목적 = 5 III. 연구의 범위 및 방법 = 6 IV. 선행연구의 검토 = 7 제2장 보행자 교통사고 현황 = 10 제1절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 현황 = 10 I. 전국발생 현황 = 10 II. 대전지역 발전현황 = 11 제2절 교통사고비용의 개념 및 피해현황 = 12 I. 개념 = 12 II. 피해현황 = 13 제3절 교통사고 처리 절차 = 14 I. 개념 = 14 II. 처리 절차 = 14 제4절 보행자 교통사고 처리 실태 = 17 I. 형사 관련 처리현황 = 17 1. 보행자 과실이 없는 경우 = 17 2. 보행자 과실이 있는 경우 = 17 3. 실제 사례 = 19 II. 민사보상 처리실태 = 20 1. 보행자 과실이 없는 경우 = 20 2. 보행자 과실이 있는 경우 = 21 제3장 보행자교통사고에 대한 법리검토 = 26 제1절 개별법률 및 이론 검토 = 26 I. 형법상 업무상과실치사상죄의 검토 = 26 II. 도로교통법의 검토 = 30 III.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의 검토 = 31 IV. 교통안전법의 검토 = 33 V.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 법률 검토 = 35 VI. 민법의 검토 = 36 VII.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검토 = 41 VIII. 사회보험법의 검토 = 46 제2절 이론적 검토 = 49 I. 평등의 원칙 (헌법 제11조) = 49 II. 죄형법정주의와 책임 (헌법 제12조 제1항) = 53 III. 과잉금지의 원칙 (헌법 제37조 제2항) = 57 IV. 헌법 재판소 판례 (적정성 및 과잉금지의 원칙) = 61 제3절 제도적 검토 = 63 I. 보험제도 = 63 1. 보험의 목적 = 63 2. 보험의 필요성 = 64 3. 보험의 특성 = 64 4. 보험의 면책사유 = 64 5. 보험과 유책보행자교통사고 = 66 제4장 유책보행자교통사고 문제점 및 개선방안 = 68 제1절 문제점 = 68 I. 법률적 문제점 = 68 1. 형법상의 문제점 = 68 2. 도로교통법.교통안전법상의 문제점 = 72 3.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의 문제점 = 73 4. 특정범죄가중처벌에관한법률상 문제점 = 74 5. 민법에 비추어 본 보행자 배상의 문제점 = 74 6.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상 문제점 = 76 II. 이론적 문제점 = 79 1. 평등의 원칙 = 79 2. 죄형법정주의 = 81 3. 과잉금지의 원칙 = 83 III. 제도적 문제점 = 84 제2절 귀책보행자교통사고에 관한 개선방안 = 86 I. 신뢰의 원칙 확대 적용 = 87 II. 보행자 특별보호구역 지정 = 88 III. 교통사고처리특례법 개정 = 89 IV. 특정범죄가중처벌에관한법률 적용 완화 = 90 V. 행위책임에 합당한 보행자 배상 = 91 VI. 보험 등 제도개선 = 93 제5장 결론 = 95 <참고문헌> = 100 Abstract = 10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