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제1장 한국인 유방암의 역학 및 임상소견
Ⅰ. 한국인 유방암의 역학 / 유근영
1. 한국인 유방암의 발생 양상 = 3
1) 원발 부위별 상대빈도 = 3
2) 연령별 발생률 = 3
3) 유방암 특수 사망률 = 5
2. 유방암 발생의 추세 변화 = 5
1) 유방암 사망률의 연차적 변화 = 5
2) 국제 비교 = 5
3)...
더보기
목차 전체
제1장 한국인 유방암의 역학 및 임상소견
Ⅰ. 한국인 유방암의 역학 / 유근영
1. 한국인 유방암의 발생 양상 = 3
1) 원발 부위별 상대빈도 = 3
2) 연령별 발생률 = 3
3) 유방암 특수 사망률 = 5
2. 유방암 발생의 추세 변화 = 5
1) 유방암 사망률의 연차적 변화 = 5
2) 국제 비교 = 5
3) 이민 집단 비교 = 6
3. 한국인 유방암 위험요인 = 6
4. 유방암의 예방 = 7
1) 예방의 단계 = 7
2) 유방암 일차 예방법 = 8
3) 유방암 이차 예방법 = 8
4) 한국인 유방암의 조기진단 방안 = 9
Ⅱ. 유방암의 임상소견 / 김승일 ; 박병우
1. 서론 = 11
2. 흔한 유방 증상 = 11
1) 유방종괴 = 11
2) 유방통 = 12
3) 유두분비 = 13
4) 유방피부 변화 및 유두함몰 = 13
5) 액와림프절 촉지 = 13
6) 비촉지 유방병소 = 13
3. 요약 = 14
제2장 유방암의 진단
Ⅰ. 유방암의 영상 진단 / 오기근
1. 유방암 환자의 발생연령 = 19
2. 유방암 환자의 발병원인 = 19
3. 유방암의 증상 = 19
4. 유방암의 진단 = 21
5. 유방촬영술 = 25
1) 유방촬영술의 적응증 = 25
2) 유방암의 유방촬영 소견 = 28
6. 유방암의 유방초음파 소견 = 34
1) 유방 초음파촬영술의 지시사항 = 34
2) 3차원 유방초음파검사 = 36
7. 유방암의 자기공명영상검사 = 37
1) 유방 자기공명영상검사의 지시조항 = 37
2) 유방암의 유방 자기공명영상 = 37
8. 디지털 유방촬영술 = 38
9. 컴퓨터 지원진단 = 40
Ⅱ. 감마카메라를 이용한 유방 영상 / 이종두
1. 유방 신티그라피 = 43
2. 유방암의 골격전이 평가를 위한 전신 골주사의 역할 = 46
3. 감마카메라와 초고에너지(511 KeV) 조준기를 이용한 전신 F-18-FDG 영상 및 Coincidence 감마카메라 단층 촬영 영상(CoDe PET) = 49
4. 방사선동위원소표지 항체를 이용한 유방암의 영상 = 50
Ⅲ. 조직 채취 / 이병찬
1. 만져지는 종괴인 경우 = 53
1) 세침 흡인 검사 = 53
2) 절침 생검 = 53
3) 절제 생검 = 54
4) 절개 생검 = 54
5) 피부 생검 = 54
2. 만져지지 않는 병소인 경우 = 54
3. 유두 분비시의 조직 채취 = 55
Ⅳ. 유방 병변의 영상유도하의 경피적 생검술 / 김은경
1. 생검술에 이용되는 영상장치 = 56
1) 입체정위 = 56
2) 초음파 = 57
3) 자기공명영상 = 58
2. 세침흡인 검사 = 58
3. 코아 조직검사 = 59
1) 적응 대상 = 59
2) 장점 = 59
3) 제한점 = 60
4) 논의되고 있는 점 = 62
Ⅴ. 비정형 관상피증식증 및 관상피내암종의 병리 / 정우희
[비정형 관상피증식증] = 64
1. 비정형 관상피증식과 관상피내암종의 병리학적 개념 = 65
2. 비정형 관상피증식과 관상피내암종의 병리조직학적 진단기준 = 66
1) 질적 기준 = 66
2) 양적 기준 = 66
3. 비정형 관상피증식과 관상피내암종의 침윤성 암종과의 연관성 = 67
[관상피내암종의 병리] = 67
1. 개요 = 67
2. 관상피내암종의 분류 = 68
1) 핵등급 = 69
2) 괴사 = 69
3) 세포 극성 = 71
4) 구조적 유형 = 71
3. 종양의 크기 = 73
4. 종양의 절제연 = 74
5. 관상피내암종의 치료지침 = 74
6. 관상피내암종의 생물학적 표지자 = 75
7. 결론 = 76
제3장 유방암의 치료
Ⅰ. 유방암의 외과적 치료 / 김세중 ; 조영업 ; 이경식
1. 외과 치료의 변화 = 79
2. 변형근치적 유방절제술 = 80
3. 유방보존술의 배경과 적응증 = 81
4. 유방보존술의 적응 = 81
5. 유방보존술의 수술 실제 = 82
1) 유방촬영술 = 82
2) 조직학적 검사 = 83
3) 유방보존술의 수술법 = 83
6. 액와림프절 절제술 = 84
7. 유방보존술 후 경계부위 침윤 = 85
8. 유방보존술에 대한 방사선치료 = 85
9. 유방보존술 후 국소/지역재발의 치료 = 85
10. 장기 합병증/재활치료 = 86
11. 한국에서의 유방보존술의 이용 = 87
Ⅱ. 유방암의 내분비 치료 / 이지현 ; 김승일
[수술 후 보조적 내분비 치료] = 90
1. 역사적 배경 = 90
2. 수술 후 타목시펜 보조요법 = 91
1) 폐경전, 후에 따른 타목시펜 보조요법의 효과 = 91
2) 액와 임프절 전이 여부에 따른 타목시펜 효과 = 92
3) 타목시펜의 적정 투여기간 = 93
4) ER 단백질의 농도와 타목시펜의 관계 = 93
5) 고령환자의 타목시펜 치료 = 94
6) 타목시펜의 부수적인 이점 = 94
7) 요약 = 94
3. 기타 보조 내분비 요법 = 95
1) 보조적 난소제거술 = 95
2) 보조적 호르몬치료의 다른 연구 = 96
4. 보조 화학항암 내분비 병용요법 = 96
1) 폐경 전 유방암 환자에서의 화학항암내분비치료 = 97
2) 폐경 후 유방암 환자에서 화학항암내분비 병용요법 = 98
5. 타목시펜의 독성 = 99
1) 폐경증상 = 99
2) 안독성 = 99
3) 혈전 질환 및 혈액 독성 = 100
4) 자궁내막암과 다른 암 = 100
6. 보조 화학항암요법과 타목시펜 투여시기 = 101
7. 미래의 방향 = 101
8. 치료 요약 = 102
[전이성 유방암의 내분비 치료] = 102
1. 전이성 유방암에서 호르몬치료 = 103
2. 치료 도식도 = 103
3. 전이성 유방암의 내분비치료 = 103
4. 타목시펜의 임상적 고찰 = 104
1) 타목시펜으로 유도된 tumor flare reactions = 104
2) 타목시펜의 금단반응 = 105
3) ER 양성 유방암에서 타목시펜에 대한 임상적인 내성과 분자학적 상관관계 = 105
5. ER 양성 유방암에서 호르몬 치료의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 = 106
1) New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= 106
2) 개발중인 pure antiestrogens = 106
3) 폐정 전 여성의 에스트로겐 소진 치료 = 106
4) 폐경 후 여성의 에스트로겐 소진 치료 = 107
5) Aminoglutethimide = 107
6) Anastrozole 및 letrozole = 108
7) Steroidal aromatase inhibitors : exemestane 및 formestane = 108
6. Novel Endocrine Therapies Directed toward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by Sex Steroids = 109
1) Retinoids = 109
2) Trastuzumab = 109
Ⅲ. 방사선 치료 / 서창옥
1. 조기 유방암에서 유방보존수술 후 시행되는 근치적 방사선 치료 = 112
2. 근치적 유방전적출술 후 방사선 치료 = 114
1) 수술 후 방사선 치료의 적응증 = 114
2) 유방전적출술 후 방사선 치료 방법 = 115
3. 방사선 치료의 합병증 = 116
Ⅳ. 유방암에서 시행하는 보조 약물치료와 최근 개발된 신약 / 정현철 ; 라선영
1. 보조 약물치료 = 119
1) 그동안 시행되었던 임상연구의 후향적 종합분석 = 119
2) 폐경 후 여성에서 치료 = 120
3) CMF 요법 이후의 치료 요법 = 121
4) Anthracycline을 기본으로 하는 요법 = 121
5) 용량 강도 = 122
6) Anthracycline과 CMF 요법의 비교 = 123
7) Taxane계 약제 = 124
8) 약물치료와 호르몬치료의 병용요법 = 125
9) 고용량 약물요법 = 126
10) 현재 시행하는 치료법 선택 기준 = 126
11) 향후 방향 = 126
12) 결론 = 127
2. 최근 개발된 신약 = 127
1) Taxanes : Paclitaxel과 Docetaxel = 128
2) Vinorelbine = 131
3) Gemcitabine = 131
4) Capecitabine = 132
5) Liposomal doxorubicin = 133
6) HER2에 대한 단클론항체 = 134
Ⅴ. 전이성 유방암의 치료 / 정현철 ; 라선영 ; 이경식
1. 1970∼1990년대 중반의 치료 = 136
1) 단일제제 약물치료 = 136
2) 다제병용 약물치료 = 137
3) 구제 약물요법 = 140
2. 1990년대 중반 이후의 치료 = 140
3. HER-2 특이적 치료 = 141
4. 생물학적 치료 = 143
5. 고용량 항암요법 = 143
6. 결론 = 144
제4장 유방암의 치료의 이슈
Ⅰ. 관상피내암 / 이희대 ; 구자윤
1. 개요 = 149
2. 발생 빈도 및 발견 = 149
3. 관상피내암의 분류법 = 150
4. 예후적 측면의 분류법 = 150
1) 면포성(Comedo) 혹은 비면포성(Noncomedo) 형태 = 150
2) 핵등급 및 분화도에 따른 분류법 = 150
5. 자연 경과 = 151
6. 치료방법의 선택 = 151
1) 유방전절제술 = 152
2) 유방보존술식 = 152
Ⅱ. 유방암에 있어서 감시림프절 생검 / 김도일 ; 이희대
1. 감시림프절의 개념 = 159
2. 감시림프절의 역사 = 159
3. 유방암에서의 감시림프절 생검의 역할 = 160
4. 감시림프절 생검의 방법 = 162
1) 림프절과 림프관을 발견하기 위한 물질과 방법 = 162
2) 주입방법 = 163
3) 감시림프절 생검의 외과적 측면 = 164
4) 감시림프절 생검의 결과 = 164
5. 감시림프절의 해부병리적 평가방법 = 165
1) 수술 중 감시림프절의 평가 = 165
2) 감시림프절의 수술 후 해부병리적 평가 = 165
6. 유방암 감시림프절 임상 실험들 = 166
Ⅲ. 유방암에서 감시림프절 영상 / 유영훈
1.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림프절 조영술 = 170
1) 방사성 의약품 = 170
2) 주사 부위 및 주사량 = 171
3) 청색 색소 병용 = 171
4) 수술 전 림프절 조영술의 필요성과 영동세브란스병원의 감시림프절 발견을 위한 림프절 조영술 결과 = 172
2. 결론 = 173
Ⅳ. 국소 진행성 및 염증성 유방암 / 박병우 ; 김승일
[국소 진행성 유방암] = 175
1. 서론 = 175
2. 국소 진행성 유방암의 치료의 역사 = 175
3. 진단 및 병기결정 = 175
4. 국소 진행성 유방암의 치료 = 176
1) 병합요법의 개발 = 176
2) 유도화학요법 = 177
3) 유도화학요법 후 국소치료 = 178
4) 유도화학요법 후 유방보존술식의 적용 = 178
5. 국소진행성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 및 예후인자 = 179
1) 병합요법의 효과 = 179
2) 국소진행성 유방암의 예후 인자 = 179
6. 요약 = 179
[염증성 유방암] = 180
1. 서론 = 180
2. 임상 특징 = 180
1) 임상증상 = 180
2) 진단 및 병리 소견 = 180
3. 치료 및 예후 = 181
1) 치료 = 181
2) 염증성 유방암의 예후 인자 = 182
4. 요약 및 전망 = 182
Ⅴ. 약년층의 유방암 / 김승일 ; 박병우
1. 서론 = 185
2. 젊은 여성에서 특수한 고려 사항 = 185
3. 국내 유방암의 연령별 발생 현황 = 186
4. 젊은 여성 유방암 환자의 예후 = 186
5. 젊은 여성 유방암의 치료 = 187
6. 요약 = 188
Ⅵ. 유방의 재건술 / 이훈범 ; 노태석
1. History 및 재건 수술 시기의 선택 = 190
1) 일차성 삽입물 재건술 = 191
2) 조직확장기법을 이용한 인공 삽입물 재건술 = 191
3) 광배근 피판 재건술 = 192
4) 횡복직근피판(TRAM flap) 유방성형술 = 193
5) 부분적 유방결손의 재건 = 196
6) 2차 수술 및 유두 유륜의 재건 = 197
Ⅶ. 유방암 수술 후 여성호르몬 대체요법 / 차봉수
1. 서론 = 198
2. 역학 연구 소개 = 199
3. 분석 = 202
4. 결론 = 202
Ⅷ. 유방암의 예후인자 / 박찬흔 ; 이경식
1. 확립된 예후 인자들 = 204
1) 원발종양의 크기 = 204
2) 액와림프절의 전이 유무 = 205
3) 종양의 분화도 = 205
4)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(ER/PR)상태 = 206
5) 조직학적 유형 = 206
6) 종양의 증식력 = 207
2. 생물학적 예후 인자들 = 208
1) 성장인자 및 성장인자 수용체 = 208
2) 종양의 침투 능력과 관련된 인자들 - 단백분해효소(Proteases) = 209
3) 암억제 유전자 = 210
4) 혈관 형성(Angiogenesis) = 211
5) 기타 = 212
3. 요약 = 212
제5장 추적 프로그램
Ⅰ. 유방암 수술 및 치료 후 추적검사 / 이경포
1. 개요 = 221
2. 검사항목 = 222
1) 임상 진찰 = 222
2) 방사선 검사 = 222
3) 혈액 검사 = 224
3. 제안 = 225
Ⅱ. 골전이성 유방암의 치료 / 정현철 ; 라선영
1. 전신적 치료(호르몬 치료 및 약물치료) = 227
2.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= 229
3. 골 특이적 방사선 동위원소 = 231
4. 결론 = 231
Ⅲ. 유방암에서의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술의 역할 / 이종두
1. 원발 유방 종양의 검출 = 233
2. 액와 림츠절 전이의 발견 = 234
3. 잔존 종양 또는 전이 병변의 평가 = 236
4. 항암 화학요법 후의 치료 반응 평가 = 238
5. F-18 FDG 이외의 다른 새로운 방사화합물을 이용한 PET 연구 = 239
제6장 유방암의 기초적 연구
Ⅰ. 에스트로젠 수용체의 생물학적 의의 / 이은숙
1. 에스트로젠 수용체의 역사 = 243
2.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와 베타의 비교 = 244
3. 에스트로젠 수용체의 역할 및 작용기전 = 244
4. SERMs과 에스트로젠 수용체의 조직 선택적 활성 = 249
5. 조직 선택적 SERMs과 에스트로젠 수용체의 분자적 기전 = 250
6. 에스트로젠 수용체와 유방암 = 251
7. 결론 = 253
Ⅱ. 유방암 치료 표적으로서 텔로미어 및 텔로머레이즈 / 라선영 ; 정현철 ; 이경식
1. 서론 = 256
2. 텔로미어와 텔로머레이즈의 측정 = 258
3. 임상적 의의 = 260
4. 텔로머레이즈 억제치료 = 262
1) 텔로머레이즈의 역전사 기능 억제 = 262
2) Anti-sense를 이용한 telomere 및 telomerase 억제 = 263
3) 텔로머레이즈의 소진 = 263
4) 유전자 조작에 의한 telomerase 활성 조절 = 263
5) Telomerase의 억제 = 263
6) 내피세포의 telomerase 억제 = 263
5. 결론 = 263
Ⅲ. 유방암에서 기질 분해효소와 그 억제제 발현 / 라선영 ; 정현철 ; 이경식
1. 서론 = 265
1) MMP란? = 265
2) MMP의 활성 조절 = 266
3) MMP의 임상적 의의 = 268
2. MMP Inhibitors(MMPIs) = 268
1) 합성 MMPIs의 설계 = 268
2) 제 1세대 MMPIs = 270
3) 제 2세대 MMPIs = 271
3. MMPIs의 임상연구 결과 = 272
1) Marimastat의 용량 증가 Ⅰ/Ⅱ상 임상연구 = 272
2) 항암제와 MMPIs의 병용투여 = 274
3) Bayer12-9566의 제 1상 연구 = 274
4) CGS27023A의 제 1상 연구 = 275
4. MMPIs의 임상적 응용시 고려 사항 = 275
5. 결론 = 276
Ⅳ. 유방암에서 유로키나제형 플라스미노젠 활성화 시스템 발현의 생물학적 의미 / 라선영 ; 정현철 ; 이경식
1. u-PA System = 278
1) Plasmin = 278
2) Serpins = 278
3) u-PAR = 278
4) Vitronectin = 279
2. u-PA System의 상호 작용 = 279
1) u-PA/plasminogen의 활성화 = 279
3. 암전이 과정에서 u-PA System의 기능 = 280
4. u-PA System 발현의 생물학적 의미 = 280
1) 종양에서 u-PA System의 발현 = 280
2) 임상적 응용성 = 281
5. 결론 = 281
Ⅴ. 성장촉진인자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생물학적 치료 / 박병우 ; 이경식
1. 유방암과 성장인자수용체 = 284
2. HER2/neu = 285
3. Anti-HER2/neu Monoclonal Antibody의 개발과 임상적용 = 285
4. Herceptin의 안정성과 임상결과 = 286
5. 단클론항체의 작용기전 = 288
6. 미래 = 289
Ⅵ. 혈관신생과 억제 / 박희붕
1. Angiogenesis의 임상적 의의 = 292
2. 종양의 혈관 신생 = 293
1) 혈관 신생의 시작 = 293
2) 혈관 형성의 단계 = 293
3) 혈관의 형성 = 293
3. 종양혈관의 구조와 기능 = 294
1) 종양과 혈관과의 상호작용 = 294
2) 특징적 구조와 혈류 = 294
3) 높은 혈관 투과도 = 294
4) 일정하지 않은 세포 표면 표지자 = 295
5) 기능적인 림프관이 없음 = 295
6) 종양의 동면 = 295
7) 혈액 암과 혈관종 = 296
4. 혈관신생 억제를 이용한 암의 치료 = 296
1) 지금까지의 업적 = 296
2) 유방암에서의 실험결과들 = 298
3) 과거 연구의 문제점과 미래 = 299
Ⅶ. 종양세포에서 세포부착과 연관된 신호전달 체계 / 박희붕
1. 서론 = 303
2. 인테그린의 구조와 역할 = 303
3. 종양세포에서 나타나는 인테그린의 변화 = 306
4. 인테그린의 종양세포 증식에서의 역할 = 307
1) 인테그린의 암 침습과 세포의 이동성에 대한 역할 = 308
2) 인테그린에 의한 세포 자폭사의 조절 = 308
3) 인테그린의 신생혈관형성에 대한 역할 = 308
5. 인테그린에 의한 신호전달 과정 = 309
1) 인테그린과 세포골격 복합체의 조절 = 310
2) 인테그린에 의해 매개되는 MAPK 신호전달 과정의 활성화 = 312
3) 인테그린에 의한 성장인자의 신호전달의 조절 = 313
4) 인테그린, 세포부탁과 세포주기 조절 = 314
5) 인테그린으로 매개되는 세포부착과 자폭사 = 315
6. 인테그린매개 신호전달과정을 이용한 새로운 치료 = 316
7. 결론 = 316
Ⅷ. Toward Custom Tailoring Systemic Therapy for Breast Cancer / 백순명
1. Abstract = 320
2. Limit of Cytoreduction and Need for Predictive Markers = 320
3. Problems of the Current Clinical Approach = 321
4. New Paradigm - Pre-operative Chemotherapy Trial as a Platform for Discovery Oriented Approach = 321
5. Feasibility of the Discovery Oriented Pre-operative Trials = 322
6. Conceptual Protocol = 324
7. Incorporation of the Discovery - validation Concept into Current Generation Trials = 324
8. Conclusion = 325
찾아보기 = 327
(목차정보: 국립중앙도서관 제공)
더보기 닫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