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Part 1 서론
1장 : 소화관암의 역학 / 설상영
Ⅰ. 식도암 = 2
Ⅱ. 위암 = 6
Ⅲ. 직장결장암 = 9
2장 : EMR/ESD와 관련된 위장관벽의 구조 / 박도윤
Ⅰ. EMR/ESD와 관련된 식도벽의 구조 = 17
Ⅱ. EMR/ESD와 관련된 위벽의 구조 = 20
Ⅲ. EMR/ESD와 관련된 대장의 구조 = 25
3장 ...
더보기
목차 전체
Part 1 서론
1장 : 소화관암의 역학 / 설상영
Ⅰ. 식도암 = 2
Ⅱ. 위암 = 6
Ⅲ. 직장결장암 = 9
2장 : EMR/ESD와 관련된 위장관벽의 구조 / 박도윤
Ⅰ. EMR/ESD와 관련된 식도벽의 구조 = 17
Ⅱ. EMR/ESD와 관련된 위벽의 구조 = 20
Ⅲ. EMR/ESD와 관련된 대장의 구조 = 25
3장 : EMR/ESD의 역사 및 국내의 현황 / 김재준
Ⅰ. 내시경점막절제술의 역사 = 29
Ⅱ. 국내 현황 = 33
4장 : 식도 EMR/ESD의 적응증 / 이성준
Ⅰ. 표재성 식도 편평상피세포암 = 41
Ⅱ. Barrett's 식도선암 = 46
5장 : 위 EMR/ESD의 적응증 / 이항락
Ⅰ. 시술 전 고려할 점 = 53
Ⅱ. 적응증 = 54
6장 : 대장 EMR/ESD의 적응증 / 이상길
Ⅰ. 용종절제술/내시경점막절제술/내시경점막하박리술 = 58
Ⅱ. 대장 EMR/ESD의 적응증 = 59
7장 : EMR/ESD 시술 전 평가 / 김영대
Ⅰ. 병력 청취와 시술 전 검사실 및 방사선학적 검사 = 67
Ⅱ. 내시경을 이용한 시술 전 검사 = 68
8장 : 대장 종양의 EMR/ESD 시술 전 검사 / 김은수 ; 천재희
Ⅰ. 대장 EMR 시 고려할 대장 및 대장 종양의 특성 = 80
Ⅱ. 올바른 적응증 선택을 위한 검사 = 81
9장 : 영상증강내시경 / 금보라
Ⅰ. 확대내시경 = 94
Ⅱ. 협대역내시경 = 98
Ⅲ. 자가형광내시경 = 102
Ⅳ. 공초점현미경내시경 = 104
10장 : EMR/ESD 시술 전 환자에 대한 설명과 동의 / 김광하
Ⅰ. EMR/ESD에 있어서 informed consent = 110
Ⅱ. Clinical pathway = 113
11장 : EMR/ESD를 위한 원내 시스템 및 교육 시스템의 구축 / 김성환
Ⅰ. ESD 원내 시스템 = 117
Ⅱ. EMR/ESD 교육 시스템 구축 = 122
12장 : EMR/ESD를 위한 전처치, 진정제 투여 및 환자 monitoring / 김성중
Ⅰ. 전처치 = 128
Ⅱ. 진정제 = 129
Ⅲ. 환자 감시 = 135
Part 2 EMR/ESD를 위한 내시경 및 도구
13장 : Endoscopes / 김지현
Ⅰ. 내시경의 역사 = 141
Ⅱ. 식도와 위 병변 시술 시 사용되는 내시경 = 141
Ⅲ. 대장과 직장 병변 시술 시 사용되는 내시경 = 143
Ⅳ. 내시경초음파 = 147
Ⅴ. Multibending 내시경 = 152
Ⅵ. 시술 전과 시술 중 점검 사항 = 153
14장 : 올가미(Snare) / 김경오
Ⅰ. 올가미의 종류 = 159
Ⅱ. EMR/ESD에서 올가미 사용 = 162
15장 : 캡(Cap)과 후드(Hood) / 김태현
Ⅰ. EMR에 사용되는 cap = 166
Ⅱ. ESD에 사용되는 내시경 선단 후드 = 168
16장 : 점막하 주입액의 개발 및 역할 / 정일권
Ⅰ. 점막하 주입액의 종류 = 178
Ⅱ. 약물 주입의 기본 원리와 기대 효과 = 179
Ⅲ. 약물 주입 방법 = 180
Ⅳ. 주입 약물의 장단점 = 181
17장 : 고주파전원발생장치 / 김도하
Ⅰ. ESU와 관련된 전기 생리의 기본 법칙 = 188
Ⅱ. ESU에 사용되는 기본 파형 = 190
Ⅲ. ICC 200과 VIO 300D의 여러 기능 = 193
Ⅳ. 실제 적용 = 201
18장 : 절개도(Knives) / 김상균
Ⅰ. 절개도의 종류 = 205
Ⅱ. 절개도의 선택 = 213
19장 : Clip 및 기타 지혈 도구 / 박창근
Ⅰ. 지혈 방법 및 각각의 지혈 기구 = 216
Part 3 고전적인 EMR
20장 : 박리생검술 / 윤영훈
Ⅰ. 술기의 실제 = 235
Ⅱ. 박리생검술의 효용성 및 한계점, ESD 시대에서의 위치 = 237
21장 : EMR-C와 EMR-L / 이완식
Ⅰ. EMR-C = 241
Ⅱ. EMR-L = 245
22장 : 고전적인 EMR / 전성우
Ⅰ. EMR-P의 정의 및 배경 = 250
Ⅱ. EMR-P의 방법 = 252
Ⅲ. EMR-P의 성적 및 적용 = 263
Ⅳ. EMR-P의 한계 및 합병증 = 264
Part 4 ESD
23장 : 소화관암의 치료로써 ESD의 역할 / 홍수진
Ⅰ. ESD의 장점 = 271
Ⅱ. ESD에 대한 개선 노력과 성과 = 276
24장 : Marking과 국소주입 / 장재영
Ⅰ. 마킹 = 283
Ⅱ. 국소주입 = 288
25장 : Needle knife를 이용한 ESD / 진윤태
Ⅰ. Needle knife = 297
Ⅱ. Needle knife를 이용한 ESD = 300
26장 : IT kinfe를 이용한 ESD / 박종재
Ⅰ. ESD 시술 방법 = 311
27장 : Hook Knife를 이용한 ESD / 정대영
Ⅰ. Hook knife의 구조 = 315
Ⅱ. Hook knife의 적용 = 317
28장 : Flex knife를 이용한 ESD / 이기명 ; 신성재
Ⅰ. Flex knife의 구조와 장점 = 325
Ⅱ. Flex knife의 단점 = 327
Ⅲ. Flex knife를 이용한 ESD 시술 과정 = 328
Ⅳ. 치료 증례 = 333
29장 : Fork knife를 이용한 ESD / 장병익
Ⅰ. Fork knife의 종류 = 339
Ⅱ. Fork knife의 사용법 = 340
Ⅲ. Fork knife의 장점 = 341
Ⅳ. 치료성적 = 342
30장 : 기타 나이프를 이용한 ESD / 임의혁
Ⅰ. Flush knife를 이용한 점막하박리술 = 345
Ⅱ. Fixed flexible snare를 이용한 점막하박리술 = 347
Ⅲ. Fixed fork snare를 이용한 점막하박리술 = 348
31장 : ESD 병용 snare EMR법 / 김진오 ; 김완중
Ⅰ. ESD 병용 snare EMR법의 역사적 배경 = 351
Ⅱ. ESD 병용 snare EMR법의 시술 방법 = 352
Ⅲ. ESD 병용 snare EMR법의 임상 성적 = 354
32장 : 식도 ESD의 요령 / 정훈용
Ⅰ. 식도암에 대한 내시경 치료법 = 361
33장 : 위 ESD의 요령 / 조주영
Ⅰ. 기본 수기 = 381
Ⅱ. 위치별 요령 = 382
Ⅲ. 특수 상황에 따른 요령 = 399
34장 : 대장 ESD의 요령 / 장동경
Ⅰ. 대장 ESD의 개요 = 405
Ⅱ. 대장 ESD의 시술 준비 = 407
Ⅲ. 대장 ESD의 시술 요령 = 412
35장 : 합병증(1) - 출혈의 예방 / 김규종
Ⅰ. 시술 전 예방책 = 427
Ⅱ. 시술 중 예방책 = 430
Ⅲ. 시술 후 예방책 = 432
36장 : 합병증(2) - 출혈의 치료 / 문정섭
Ⅰ. 출혈의 분류 = 436
Ⅱ. 출혈 위험 요인 = 436
Ⅲ. 출혈의 기전 = 437
Ⅳ. 위치에 따른 출혈 위험 = 438
Ⅴ. 출혈 예방법 = 439
Ⅵ. 내시경 지혈술 = 440
37장 : 천공 및 기타 합병증 / 조진웅
Ⅰ. 천공 = 445
Ⅱ. 기타 합병증 = 461
38장 : 고위험 환자에서 ESD / 김용식
Ⅰ. ESD 시술 고위험군 = 471
Ⅱ. 고위험 환자에서의 ESD = 473
Part 5 EMR/ESD 시술 후 병리 검사 및 추가 관리
39장 : 절제 표본의 취급과 판독(상부) / 진소영
Ⅰ. 위 EMR/ESD 절제 표본의 취급 및 판독 = 487
Ⅱ. 식도 EMR/ESD 절제 표본의 취급 및 판독 = 497
40장 : 절제 표본의 취급과 판독(하부) / 장희진
Ⅰ. 내시경 절제 표본의 검사 전 취급 = 503
Ⅱ. 병리학적 검사 = 504
41장 : 병리 결과 판정에 의한 추가적인 치료(상부) / 조원영
Ⅰ. 완전절제의 경우 = 516
Ⅱ. 불완전절제의 경우 = 517
Ⅲ. 분자유전학적 관점 = 522
Ⅳ. Helicobacter pylori의 유무 = 522
42장 : 병리 결과 판정에 의한 추가적인 치료(하부) / 변정식
Ⅰ. 조기 대장암의 내시경 절제 후 추가 치료 = 526
Ⅱ. 양성 샘종의 내시경 절제 후 추가 치료 = 538
Part 6 EMR/ESD 시술 후 장ㆍ단기 추적 관찰
43장 : EMR/ESD 시술의 clinical pathway(상부) / 최기돈
Ⅰ. EMR/ESD 시술 후 합병증 = 547
Ⅱ. EMR/ESD 시술과 프로톤 펌프 억제제의 사용 = 549
Ⅲ. EMR/ESD 시술 후 추적 내시경 = 550
Ⅳ. 서울아산병원의 임상 진료 지침 = 551
44장 : EMR/ESD 시술의 clinical pathway(하부) / 고봉민
Ⅰ. 시술 전 환자 관리 = 558
Ⅱ. 시술 후 환자 관리 = 560
Ⅲ. 합병증 = 561
45장 : 조기위암 EMR/ESD의 성적(국내) / 이준행
Ⅰ. 국내에서 조기위암 내시경절제술의 초기 성적 = 563
Ⅱ. 국내에서 조기위암 내시경절제술의 최근 성적 = 565
Ⅲ. ESD를 이용한 조기위암의 내시경 치료 = 566
Ⅳ. 조기위암 내시경 치료 적응증의 확대 = 567
Ⅴ. 국내 조기위암 내시경절제술의 다기관 공동 연구 성적 = 568
Ⅵ. 국내 조기위암 내시경절제술 연구의 한계점과 발전 방향 = 569
46장 : 조기위암의 EMR/ESD 성적(해외) / 전원중
Ⅰ. 조기위암 치료에 있어 EMR/ESD의 일괄절제율 및 완전절제율 = 575
Ⅱ. 조기위암 치료에 있어 EMR/ESD의 장기 성적 = 576
Ⅲ. 조기위암 치료에 있어 EMR/ESD 후 국소재발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 = 579
47장 : 대장질환의 EMR/ESD의 성적(국내) / 조광범
Ⅰ. EMR 성적 = 584
Ⅱ. ESD-S 성적 = 585
Ⅲ. ESD 성적 = 586
Ⅳ. 합병증 = 587
Ⅴ. 장기 추적 관찰 성적 = 588
Ⅵ. 요약 = 588
48장 : 대장질환의 EMR/ESD의 성적(해외) / 최일주
Ⅰ. EMR 성적 = 593
Ⅱ. ESD 성적 = 597
Ⅲ. 직장종양에 대한 EMR, ESD 성적 = 599
Ⅳ. 분할절제 후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술 = 600
Ⅴ. 합병증 = 600
49장 : EMR/ESD의 미래 / 전훈재 ; 박상훈
Ⅰ. 적응의 확대 = 605
Ⅱ. 적응증의 괴리 = 608
Ⅲ. 치료 측면의 발전 = 609
Ⅳ. 새로운 치료 술식과의 융합 = 609
INDEX 찾아보기 = 613
(목차 정보 : 국립중앙도서관 제공)
더보기 닫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