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 일부
내시경술의 영향 : 편집 M. Classen, C.J. Lightdale, and G.N.J. Tytgat
1. 내시경검사의 역사 - 미국의 시각에서 / Basil I. Hirschowitz ; Irvin M. Modlin ; 정준모 ; 최용환
서론 = 3
내시경의 짧은 역사 = 3
개방관(Open Tube) = 6
항문직장경(직장경) ...
더보기
목차 전체
내시경술의 영향 : 편집 M. Classen, C.J. Lightdale, and G.N.J. Tytgat
1. 내시경검사의 역사 - 미국의 시각에서 / Basil I. Hirschowitz ; Irvin M. Modlin ; 정준모 ; 최용환
서론 = 3
내시경의 짧은 역사 = 3
개방관(Open Tube) = 6
항문직장경(직장경) = 7
지난 40년 = 7
식도 = 12
Barrett 식도 = 12
식도암 = 13
위와 십이지장 = 13
소장 = 15
대장 = 16
췌장과 담도 = 17
최소한의 침습적 수술법 = 17
결론 = 20
내시경술의 미래 = 21
내시경검사의 역사 - 유럽의 시각에서 / Andr<TEX>$$\acute e$$</TEX> Elewaut ; Michel Cremer ; 홍성표 ; 박인서
선구자들 = 23
반굴곡성 위경 : 위 내시경검사의 임상적 가치 증명 = 26
식도경의 기원 = 27
적극적인 진단적 접근법 = 29
위 카메라 = 31
광학섬유 내시경(1957-83) : 전-범위 내시경 = 31
직시하의 내시경 : 범 내시경 = 33
치료내시경의 출현 = 33
내시경적 역행성 췌담도검사 = 34
굴곡성 광학 S상 결장경/대장경 = 36
소장내시경 검사 = 36
비디오 내시경검사 = 36
복강경 = 37
내시경 학회들 = 38
최근의 발전과 미래의 전망들 = 38
내시경검사의 역사 - 일본의 시각에서 / K. Kawai ; H. Niwa ; R. Fujita ; S. Shimizu ; 윤종만 ; 유종선
상부 위장관의 현대식 내시경검사의 발달 = 41
대장의 내시경 검사 = 44
S상 결장경 촬영술 = 44
대장카메라(Colonocamera) = 44
대장파이버스코프(대장내시경, 대장경) = 44
확대 관찰 = 47
함몰형 "조기" 대장직장암 = 48
궤양성 대장염과 Crohn병 = 48
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과 이와 관련된 치료 수기들 = 49
2. 내시경술 영역의 연구, 성과 및 당위성 / Peter B. Cotton ; Patrick Mauldin ; 송인성
서론 = 57
왜 내시경 시술의 평가가 필요한가? = 57
내시경시술을 할 때 시술자가 알아야 하는 것 = 57
진단적 내시경 시술의 평가 = 58
병기에 대한 정보 = 59
질병의 선별과 감시 = 59
치료 내시경술 = 59
임상적 중재 모델 = 60
중재술의 경제적인 측면의 평가 = 61
무엇이 더 좋은지, 누가 평가하는가? = 62
진료에서의 평가 : 증명과 연구 = 62
무작위 배정 대조군 연구 = 62
코호트 연구 = 63
3 위 장관 내시경술에서 질 보장 / G.M. Naylor ; A.T.R. Axon ; S.O'Mahony ; 선희식
질(Quality) 보장이란 무엇인가? = 67
질(Quality) 지표들 = 67
내시경술에서 질 보장 - 왜 걱정하나? = 68
무슨 자료를 수집하는가? = 69
핵심적 질 지표 범위를 넘어서 = 72
질 보장과 지속적 질 향상 = 73
질 보장에서의 컴퓨터 = 73
내시경술 수련과 질 보장 = 74
질 보장 프로그램의 시작 = 74
질 보장은 활용될 것인가? = 75
프로그램을 시작했던 경험들 = 76
질 보장의 미래 = 76
4 진단적, 치료적 내시경술의 새로운 과학기술 / C. Paul Swain ; 현진해
서론 = 79
생검 방법 = 80
용종 절제와 회수 = 80
주사침 생검 = 81
출혈 = 81
연성내시경 수술을 위한 새로운 도구 = 81
재봉기와 제책기 = 81
재봉기 = 82
경위루 수술 = 82
경항문 내시경 미세수술 = 82
오버튜브(Overtube) = 83
비용 = 83
새로운 기술 = 84
연성 내시경의 문제점 = 85
환자와 내시경술 : 편집 M. Classen, C.J. Lightdale, and C.N.J. Tytgat
5 소화기 내시경술의 동의서 / M. Classen ; 장린
환자의 권리 = 91
동의 얻기 = 91
매일 시행되는 시술에 대해 어떻게 동의서를 받아야 하는가? = 92
환자로부터 동의서를 얻을 책임을 누구에게 있는가? = 92
개방형 선택 방식에 의한 소화기 내시경술(Open-access gastrointestinal endoscopy) = 93
Tape 녹화와 Videotaping = 94
표준 환자 정보 소책자(A standard patient information pamphlet) = 95
동의서를 받을때의 실제적인 문제 = 98
6 내시경 시술을 위한 진정 조치 / Jenifer R. Lightdale ; Charles J. Lightdale ; 최규완 ; 정현채
진정제 : 언제 사용할 것인가 = 101
진정의 수준 = 102
전신마취 = 103
진정을 위한 환자평가 = 103
내시경을 위한 약리학적 선택 = 104
국소제제 = 104
벤조다이아제핀(Benzodiazepines) = 105
다이아제팜(Diazepam) = 105
미다졸람(Midazolam) = 105
아편양 제제(Opioids) = 106
메페리딘(Meperidine) = 106
펜타닐(Fentanyl) = 106
보조제제 = 106
기타제제 = 106
드로페리돌(Droperidol) = 106
프로포폴(Propofol) = 107
나이트러스 옥사이드(Nitrous Oxide) = 107
길항제 = 107
플르마제닐(Flumazenil) = 107
날록손(Naloxone) = 108
시술의 위험 = 108
항생제 예방 = 109
시술전 금식 = 110
내시경 시술 도중 환자에 대한 처치와 모니터 = 110
산소보충 = 110
전자 모니터 = 110
환자의 산소화에 대한 모니터 = 111
환자의 과탄산증(hypercabia)에 대한 모니터 = 111
환자의 심혈관 상태에 대한 모니터 = 111
7 내시경 센터 / G.N.J. Tytgat ; 이종철
내시경 센터 설계지침 = 115
내시경 검사실 = 117
초음파 내시경 검사실, 레이저 치료실, 방사선 검사실 = 117
검사 준비실과 회복실 = 117
내시경 소독실 = 117
인력 = 118
적절한 환자 관리를 위한 전반적인 필요 조건 = 118
8 내시경 기구와 부속물의 세척과 소독 / G.N.J. Tytgat ; 양웅석
내시경 검사 관련 감염증 = 121
내시경 시술자에 대한 위험 = 121
일반적인 원칙 = 121
의료 기기들 = 122
소독의 수준 = 122
살균제 = 122
소독제의 선택 = 122
세척기-소독기 = 123
전염성 아급성 해면모양 뇌증(TSSE)에 관한 문제 = 123
내시경 처리 = 123
수작업에 의한 내시경 소독 = 123
자동화 과정들(세척기-소독기) = 124
소기구와 부속물의 처치 = 125
세척 = 125
헹굼 = 126
건조 = 126
멸균 = 126
기타 요구 사항 = 126
직원 = 126
시설 = 126
추적도 = 126
결론 = 126
교육과 학습 : 편집 M. Classen, C.J. Lightdale, and G.N.J. Tytgat
9 위장관 내시경술의 교육과 수련 / J. Hochberger ; J. Maiss ; O. Cass ; T. R<TEX>$$\ddot 0$$</TEX>sch ; E.G. Hahn ; 민영일
서론 = 131
수련과 수련 지침에 대한 연구 = 131
모의 수련 장치 = 133
플라스틱 마네킹과 기타 정적인 모형(static model) = 133
컴퓨터 모의 수련 장치 = 133
마취된 동물을 이용한 내시경 수련 = 134
동물의 장기 일부를 이용한 모의 수련 장치(animal part simulator) = 135
위장관 내시경술에 대한 실제적인 교육 = 136
임상 교육 = 136
정적인 모형(static model)을 이용한 1일 과정, 또는 주말 과정의 내시경시술 교육 = 137
치료 내시경술 교육 = 138
위장관 내시경술에 대한 교육 = 138
새로운 치료 술기 소개와 교육 제공에 대한 전망 = 138
질 관리와 지속적 교육을 위한 도구로서의 모의 수련 장치 = 139
결론 = 139
진단술기와 기법 : 편집 M. Classen
10 상부 위장관 내시경술 / J. Escourrou ; J. Salcedo ; L. Buscail ; 이상인 ; 구자영
서론 = 145
적응증과 금기사항 = 145
내시경검사상 이상 소견이 없는 경우에 내시경검사의 남용을 의미하는가? = 147
금기사항 = 147
장비 = 147
표준 위내시경의 일반적인 특성 = 148
특수 상부위장관 내시경 = 148
조직 및 세포 검사 기구 = 151
검사기술 = 151
환자의 처치전 준비 = 151
하인두 삽관 = 152
식도 = 152
위 = 153
십이지장 = 156
검사의 완결 = 157
합병증 = 157
결론 = 157
11 소장 내시경 검사 / A. Van Gossum ; 전훈재 ; 한석원
서론 = 159
가압 소장 내시경 검사 = 159
내시경 기기 = 159
진정제의 투여 = 159
내시경 수기 = 160
진단과 치료 = 162
Sonde 소장 내시경 = 162
내시경 기기 = 162
삽입 깊이 = 162
진정제의 사용 = 162
내시경 수기 = 162
무선 캡슐 내시경 = 164
수술중 소장내시경술 = 165
소장병변의 내시경 진단 = 166
혈관이상 = 166
종양성 질환 = 167
궤양성 병변 = 167
게실 = 168
기타 적응증 = 168
12 대장내시경검사 : 기본장비와 수기 / Brian P. Saunders ; 최규용 ; 정문관
서론 = 171
적응증 = 171
금기증 = 173
장 정결(Bowel Preparation) = 173
진정(Sedation) = 174
진경제(Antispasmodics) = 175
대장내시경 검사에 사용되는 장비 = 175
대장내시경술 = 175
높은 해상도와 확대 = 177
이산화탄소 대 공기 송기 = 177
부속기구(Accessories) = 177
대장내시경 검사의 영상화 = 178
투시검사 = 178
자기 내시경 영상(Magnetic Endoscope Imaging) = 178
대장내시경 삽입 : 기술 = 181
일반적 원칙 = 181
기기 조종 = 182
대장내시경 삽입의 보조술 = 182
항문과 직장 = 183
S상결장 = 184
하행결장과 비만곡부 = 186
횡행결장과 간만곡부 = 188
상행결장, 맹장, 회장말단부 = 189
모든 환자에게 전 대장내시경검사가 성공할 수 있는가? = 190
내시경 빼 낼 때 검사 수기 = 191
합병증 = 191
13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/ Gregory B. Haber ; Gurpal S. Sandha ; 강진경
역사적 배경 = 193
적응증 = 193
장비 = 193
내시경 = 193
삽관 도구 = 194
조영제 = 196
술기 = 196
환자준비와 안정 = 196
검사 방법 = 197
구강 인두 내로의 삽입 = 197
유문부 통과 = 197
유두로의 진행 = 198
Vater 유두 = 198
선택적 삽관 = 199
총담관 삽관 = 199
담관조영상 얻기 = 201
췌관 삽관 = 201
부유두삽관 = 202
어려운 상황의 ERCP = 202
합병증 = 203
췌장염 = 204
앞으로의 방향 = 204
14 경구 담관내시경 검사 / J.F. Riemann ; 김창덕
서론 = 207
기구와 수기 = 207
한계점 = 208
합병증 = 208
임상적 적용과 결과 = 208
악성담관 병변이 의심될 때 = 209
담관 결석 = 210
결론 = 212
15 경피경간 담도조영술과 담도경 검사법 / Horst Neuhaus ; 이성구 ; 서동완
서론 = 213
적응증 = 213
금기증 = 214
장비 = 214
경간적 경로 형성을 위한 부속기구 = 214
담도경 = 214
쇄석기 = 214
레이저 쇄석술 = 215
환자의 준비 = 216
시술 = 216
경피경간 담도조영술 = 216
경피경간 담도조영술적 배액술(PTCD) = 216
경피경간적 담도성형술과 담도 배액관 삽입 = 217
경피 담도경 검사법 = 218
경피적 담석 제거 = 218
시술후 경피 경간로의 관리 = 219
결과 = 221
경피적 담도 조영술, 담도 배액술, 담도 성형술 및 담도 배액관 유치 = 221
진단적 경피 경간 담도경술 = 223
치료적 경피경간 담도경술 = 224
합병증과 그 치료 = 225
결론 = 226
16 조직 채취 기법 / Wolfgang R<TEX>$$\ddot o$$</TEX>sch ; 박경남 ; 안득수
서론 = 229
생검 = 229
식도 = 232
위 = 233
십이지장과 소장 = 236
대장 = 236
췌장과 담관들 = 237
세포진 검사 = 238
체액의 표본 채취 = 238
결론 = 239
17 내시경술에 대한 조직병리의 기여 / Robert H. Riddell ; 이용찬
용종과 다른 종양이 발견되었을 때 병리의 역할 = 241
염증이나 상피화생의 형태가 있는 경우, 병리의 역할 = 244
위식도역류질환, Barrett식도, 식도 감염과 다른 드문 질환들 = 244
위와 십이지장 = 246
회장과 대장 = 246
내시경적 이상소견이 없을 때 병리의 역할 = 250
결론 = 251
18 내시경적 초음파검사 / T. R<TEX>$$\ddot o$$</TEX>sch ; A.M. Kassem ; 정재복 ; 서정훈
사용가능한 기기와 주사원칙 = 255
내시경초음파-유도하 천자기술의 기초 = 256
내시경초음파검사와 내시경초음차검사유도하 세침천자의 임상적 배경과 전제조건들 = 259
검사기술과 정상소견 = 259
준비, 진정, 그리고 합병증 = 259
상부소화관 = 260
췌장과 담도 = 264
대장직장 = 264
병리학적 소견 : 일반적인 원칙 = 264
소화관암의 병기결정 = 264
점막하 병변 = 265
췌담도계에서의 종양진단과 병기결정 = 267
양성병변과 감별진단 = 267
세침흡입 : 정확도, 문제점, 제한점 = 270
임상에서의 초음파내시경술 = 272
전망 : 새로운 기술과 초음파내시경 유도하의 처치 = 273
19 복강경 검사와 복강경 및 내시경 통합 검사 / Eckart Frimberger ; Hubertus Feussner ; 전재윤 ; 이관식
복강경 검사 = 281
서론 = 281
적응증 = 281
금기증 = 282
부작용과 합병증 = 283
복강경 검사 시행전 검사들 = 283
장비 = 284
환자준비와 투약 = 284
기복 = 285
투관침의 삽입 = 285
미니복강경 검사 = 286
복강내 시진(inspection)과 생검 = 286
확대 진단적 복강경 검사 = 287
확대 진단적 복강경 검사의 기술적 수행 = 287
적응증과 결과 = 290
확대 진단적 복강경 검사의 합병증 = 293
복강경과 내시경 병합시술 = 294
서론 = 294
적응증 = 295
금기증 = 295
일반적인 관점 = 295
장비 = 295
특별한 수술전 평가 = 296
환자의 준비 = 296
환자의 자세, 마취, 복강경 및 내시경 시술자의 위치, 장비의 배열 = 296
일반적 기술적인 측면 = 296
복강경과 내시경 병합술 변형(LEP Variants) = 297
결과 = 299
고찰 = 300
20 직장 검사 / P. Neary ; P.W.R. Lee ; 박응범 ; 조용석
서론 = 307
외래환자 평가 = 307
병력 = 307
진찰 = 308
내시경 검사법 = 309
항문경 검사 = 309
경성S상 결장경 검사 = 310
연성S상 결장경 검사 = 311
항문직장 초음파검사 = 312
경항문 초음파(경관 초음파) = 312
직장 초음파 = 314
항문직장생리 = 314
항문직장내압검사 = 314
신경자극검사 = 316
음부신경말단 운동잠복검사 = 316
척수신경 잠복검사 = 316
방사선학적 검사 = 316
배변조영술 = 316
자기공명영상(MRI)과 전산화 단층촬영(CT) = 317
마취하 검사 = 318
결론 = 319
21 간 생검 / A.K. Burroughs ; L. Dagher ; 문영명
서론 = 321
적응증 = 321
경피적 간 생검 = 322
Menghini방법 = 322
Tru-Cut 침 생검법 = 323
충진 경피 간생검 = 324
세침 흡입 간 생검 = 324
초음파 유도하의 간 생검 = 326
경정맥 접근법 = 326
복강경을 통한 간 생검 = 328
치료술기 : 편집 M. Classen
22 내시경적 지혈술 : 경화제 주입법, 밴드 결찰법, 기계적 방법, 열탐침법 및 기타 방법들 / James Y.W.Lau ; S.C. Sydney Chung ; 송시영 ; 김형길
비정맥류 출혈(Nonvariceal Hemorrhage) = 333
국소주입법 = 333
희석 에피네프린(diluted epinepnrine) = 333
에피네프린 주입방법 = 333
경화제(sclerosant) = 334
Thrombin과 Fibrin 봉합제 = 335
열기구 접촉 : 열 탐침법(Heat Probe) = 336
내시경적 클립 = 338
단독 또는 병합치료 = 339
내시경 치료의 한계 = 339
정맥류 출혈 = 339
내시경적 경화요법 = 339
결찰요법 = 339
결찰요법 대 경화요법 = 340
내시경적 결찰요법과 경화요법의 병용요법 = 340
식도 정맥류의 예방적 치료 = 341
Tissue adhesives = 341
위정맥류 = 343
Endoloops and detachable Mini-Snares = 344
23 응고 소작 탐침에 의한 동맥 출혈의 지혈 원칙, 기술적 지침과 결과 / Dennis M. Jenson ; Gustavo A. Machicado ; 문병수 ; 이세준
서론 = 347
응고소작 탐침을 이용한 동맥 지혈의 원칙 = 347
내시경적 치료의 기술적 변수와 지침 = 348
양극 혹은 다극 전기 응고소작 = 348
온열 탐침의 기술적 지침 = 349
궤양성 출혈의 지혈에 대한 국소주입과 온열 응고 소작 병합 요법 = 351
단극성 전기응고 : 기술적 지침 = 352
궤양 출혈에 대한 전향적 무작위 대조 연구들 = 352
단극전기응고법에 관한 임상 결과 = 352
이극전기응고법 = 353
가열탐침법 = 354
궤양에 대한 열지혈법과 주입법의 비교 = 355
궤양 지혈술로서 복합 치료의 임상 결과 = 356
Mallory-Weiss 열상의 지혈술에서 이극응고법 = 357
Dieulafoy병변에 대한 지혈술에서 이극응고법 = 357
상부위장관 종양 출혈에 대한 지혈술 = 357
24 레이저 사용 / Hugh Barr ; 이용찬
레이저 치료의 물리와 기본 원리 = 361
레이저 광선과 조직간의 상호작용 = 361
레이저의 종류 = 362
내시경적 레이저 치료술 = 363
지혈술 = 363
악성 연하 곤란증의 고식적 치료 = 363
팽대부와 십이지장 종양 = 364
대장직장암 = 365
조기 위장관암과 전구병변 = 365
결론 = 367
25 아르곤 플라스마 응고소작법 / Guido Costamagna ; 김태일 ; 이기명
원리 및 장비 = 369
아르곤 플라스마 응고소작 기법 = 372
적응증 = 373
Barrett 식도 = 373
Zenker 게실 = 374
표재성 소화기암의 치료 = 375
진행성 소화기암의 종괴감축술(debulking)과 폐쇄된 금속 도관의 재개통 = 375
무경성 용종의 완전 제거 = 377
비 정맥류(nonvariceal) 소화관 출혈의 치료 = 377
식도 정맥류 = 379
방사선 직장염 = 380
26 대장 용종 절제술 / Jerome D. Waye ; 양석균 ; 장세경 ; 박영숙
대장 용종 절제술의 원리 = 383
열을 통한 혈관 소작과 지혈 = 383
전류의 종류 = 383
전기 소작 기기(electrosurgical unit) = 383
압박을 통한 소작 및 응고 = 384
용종의 분류 = 384
색소내시경검사 = 384
내시경 부속기구 = 385
전기 소작 기기 = 385
주사기 침 = 385
대장내시경 = 385
고온 생검 겸자 = 386
고열 탐침자(heater probe)와 BICAP = 386
Argon Plasma Coagulator(APC) = 386
이탈식 루프(detachable loop) = 386
클립 = 388
올가미(snare) = 388
용종 절제술을 위한 준비 = 388
대장 정결 = 388
이산화탄소 = 388
대장내시경 시행 전 임상병리 검사 = 389
아스피린과 항응고제 = 389
용종 절제술 술기 = 389
용종의 위치 = 389
작은 용종 = 389
올가미 도관 배치(Snare Catheter Placement) = 390
유경성 용종 = 390
무경성 용종 = 390
용종 절제후 용종 기저부의 치료(Treatment of Polyp Base after Removal) = 390
안전한 용종 절제 방법(Methods for Safer Polypectomy) = 391
올가미 손잡이 표시(Marking the Snare Handle) = 391
점막하 식염수 주입 용종 절제술(Submucosal Injection for Polypectomy) = 392
주입된 용액의 양 = 393
악성 용종 = 394
종양 추적 = 394
공기 흡인 = 395
올가미의 선단(The Tip of the snare) = 395
표시선에서 멈추기(Stopping at the Line) = 395
가저부로부터 용종을 들어올림(Tent the Polyp away from the Base) = 395
분할 절제술(Piecement Polypectomy) = 395
문제점 = 396
용종의 위치 = 396
언제 용종을 제거할 것인가? = 397
자세 변환과 복압 = 397
회전성 올가미(Rotatable Snare) = 397
작은 올가미(Mini-Snare) = 397
더 나은 선단 편향을 위한 내시경 = 397
새로운 대장 내시경 기기 = 398
대합껍질 모양 용종들(Clamshell Polyps) = 398
추적검사 간격 = 398
후경(Retroversion) = 398
용종 크기 = 398
용종절제술 중의 출혈 = 398
제거하기가 매우 어려운 용종 = 399
편평 용종 = 399
극단적으로 어려운 대장내시경술 = 399
복강경술과 용종절제술 = 399
병변의 위치 = 399
추적 내시경검사 = 399
용종절제술 부위의 치유 = 399
무의미한 내시경 삽입 길이 = 399
내시경상의 경계표 = 400
클립(Clips) = 400
대장 조영술 = 400
자기화 영상 = 400
수술 중 대장내시경검사 = 400
대장점막 표지자 주사 방법 = 400
합병증 = 402
천공 = 402
용종절제술 응고 증후군(장막염, 전층화상, 용종절제술 증후군) = 403
용종절제술 후 출혈 = 403
고온 생검 겸자 = 404
결과 = 404
실행시 요점 점검 = 404
27 위장관 점막암의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/ Haruhiro Inoue ; Shin-ei Kudo ; 박승우 ; 정훈용
내시경적 점막절제술(endoscopic mucosal resection)의 발전 = 409
식도, 위, 결장암의 진단 = 410
조기 식도암의 발견 = 410
조기 위암의 진단 = 411
조기 대장암의 진단 = 411
조기 식도, 위, 대장암의 치료 = 411
원칙 = 411
술기 = 411
조직병리 검사 = 412
내시경적 점막절제술 후 병변의 치유 = 414
임상적 결과 = 415
합병증의 예방과 치료 = 417
천공 = 417
궤양저에서 발생한 출혈 = 421
결론 = 421
28 광역동 치료(Photodynamic Therapy) / L. Gossner ; C. Ell ; 심찬섭
서론 = 423
광역동 치료의 원리 : 광화학(Photochemistry)과 광생물학(Phtobiology) = 423
Ⅰ형 및 Ⅱ형 광화학 = 423
기구 = 424
광과민제(Photosensitizers) = 424
광원(Light Sources) = 425
광 전달 시스템(Light Application Systems) = 426
광량측정(Dosimetry) = 427
적응증 = 428
근치적 치료 = 428
금기증 = 429
환자 전처치 = 429
치료전 병기결정(Pretherapeutic Staging) = 429
시술방법 = 429
결과 = 430
Barrett 식도 = 430
식도 = 431
위 = 431
합병증 = 433
시술후 처치 = 433
결론 = 433
29 내시경적 유두괄약근 절개술 / M. Classen ; section on needle-knife sphincterotomy by Z. Zhang ; 김명환 ; 설상영 ; 최호순
서론 = 435
적응증 = 435
십이지장 주유두와 부유두 = 436
담도 = 436
췌장 = 437
입원, 전처치와 기구 = 440
입원의 상황(입원 환자와 외래 환자) = 440
준비 = 440
기구 = 441
내시경적 유두부 절개술 = 445
담관 유두부 절개 = 445
Precut 유두부 절개술 = 445
침형 절개도 = 446
루절개와 유두절개(팽대부 절개) = 446
췌관 절개술 = 446
췌관을 통한 프리컷 유두부 절개법 = 446
부유두부 절개술 = 448
유두근접 게실 = 448
Billroth-Ⅱ 위절제술 = 448
랑데부법 = 449
내시경적 유두부 절개술의 합병증 = 451
단기 합병증 = 451
장기 합병증 = 455
결과와 성적 = 455
기술적 성공 = 455
내시경적 유두 괄약근 절개술의 적응증 = 456
내시경적 유두 괄약근 절개술의 대체 = 460
30 소화관 인공도관 삽입술 / R.A. Kozarek ; 김진홍 ; 김재준
서론 = 467
적응증과 금기증 = 467
기구 = 468
확장 기구 = 468
인공도관 = 468
시술과 유치방법 = 471
부우지 확장술(bougienage) = 471
식도 인공도관 = 472
합병증에 대한 대처 = 478
임상적 결과와 성과 = 479
부우지 확장술 = 479
식도시술 = 479
스텐트 고정술 = 479
대안 = 481
결론 = 481
31 담관과 췌관 배액술 / Kenneth F. Binmoeller ; Christopher E. Devereaux ; Javaid A. Shad ; 이동기 ; 김창우
서론 = 485
담관 배액관 = 485
플라스틱 배액관 = 485
자가팽창형 금속 배액관 = 488
췌장 배액관 = 490
스텐트의 제거와 교환 = 491
이동된 스텐트의 제거 = 492
스텐트 삽입의 합병증 = 493
스텐트와 관련된 췌관의 변화 = 493
담관 스텐트 삽입의 적응증 = 493
양성 담관 협착 = 493
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= 494
담관 누출 = 494
이식수술 후 담관계 합병증 = 494
담석증과 총담관결석증 = 494
임신 = 494
담낭염 = 495
수술 전 담관 스텐트 삽입 = 495
악성 담관 협착 = 495
국소 방사선 요법(Brachytherapy) = 495
췌장 질환에서의 적응증 = 495
췌관 협착 = 495
췌관 결석 = 496
가성낭종 = 496
췌관 누출 = 496
분할췌 = 497
결론 = 497
32 대장 감압술 / Donald G. Ormonde ; Norman E. Marcon ; 이문성 ; 한기준
급성 대장 가성폐색(Acute Colonic Pseudo-Obstruction) = 501
임상양상 = 501
진단 = 502
병태생리 = 503
원인 = 504
자연경과와 후유증(Natural history and sequelae) = 505
치료 = 506
요약 = 512
대장과 회맹부 협착에서 풍선 확장을 통한 대장 감압술 = 513
양성협착 = 513
악성협착 = 516
결론 = 516
33 위장관 이물의 치료 / Jeffrey L. Ponsky ; 정현용 ; 김학양
이물 섭취 환자에 대한 접근 = 519
음식 덩어리 박힘 = 519
동전 = 522
날카로운 이물 제거 = 523
전지(Batteries) = 525
위석(Bezoars) = 525
보기드문 이물(Unusual Foreign Bodies) = 526
직장과 대장의 이물(Rectal and Colonic Foreign Bodies) = 527
결론 = 528
34 쇄석술 / P. Born ; 정준표 ; 문영수
서론 = 529
적응증 = 529
담관 결석증 = 529
췌석증 = 530
장비와 방법 = 530
내시경 = 530
유두부 절개도 = 531
유도 철선 = 531
바스켓 = 531
풍선 = 531
경피적 경로 = 531
내시경적 경로 = 532
기계적 쇄석술 = 534
전기수압 쇄석술 = 537
레이저 쇄석술 = 537
체외충격파 쇄석술 = 537
금기증 = 537
담도 결석에 있어서의 치료 성적 = 538
기계적 쇄석술 = 538
전기수압 쇄석술 = 538
레이저 쇄석술 = 538
체외충격파 쇄석술 = 539
합병증 = 540
체외충격파 쇄석술 = 540
레이저 쇄석술 = 540
전기수압 쇄석술 = 541
기계적 쇄석술 = 541
췌석 치료의 성적 = 541
체외충격파 쇄석술 = 541
레이저 쇄석술 = 542
다른 치료법의 선택 = 543
수술 = 543
스텐트 삽입술 = 543
요약 = 543
35 경피내시경하위루술과 공장루 조성술 / Sreeni Jonnalagadda ; Steven A. Edmundowicz ; 신용운 ; 김범수
서론 = 547
적응증 = 547
금기증 = 548
환자준비 = 548
처치 = 548
최적의 경피내시경하위루술 위치 = 549
당김형(Pull-Type, Ponsky-Gauderer) 위루조성술 = 550
밀기형(Push-Type, Sacks-Vine) 위루조성술 = 551
삽입기형(Introducer-Type, Russell) 위루조성술 = 554
시술 후 유의사항 = 555
내시경 유도 위공장루(Gastrojejunostomy) = 556
경피내시경하공장루조성술(Percutaneous Endoscopic Jejunostomy) = 557
부작용 = 558
PEG 관의 교환과 제거 = 558
결론 = 560
상부장관 질환 : 편집 G.N.J. Tytgat
36 식도질환 / Joel E. Richter ; Gregory Zuccaro ; 김도영 ; 박효진 ; 이풍렬 ; 김현수
일반 해부학 = 565
편평상피-원주상피(점막) 접합부 = 565
식도위(근육) 접합부 = 567
하부식도괄약근(Lower Esophageal Sphincter : LES) = 567
식도열공 탈장 = 568
활탈 식도열공탈장(Sliding hiatal hemia) = 568
부식도 식도열공탈장(paraesophageal hemia) = 568
위식도역류질환 = 571
식도염 = 571
식도염의 분류 체계 = 572
Sentinel Fold = 575
GERD의 기타 내시경소견들 = 575
소화성 식도 협착 = 575
하부 식도(Schatzki)륜 = 577
반지모양 식도 = 578
Barrett 식도 = 579
위저추벽성형술후 내시경 검사 = 581
식도 운동 질환 = 581
아칼라지아(식도이완불능증) = 581
경피증 = 583
식도 감염증 = 583
캔디다 식도염 = 584
헤르페스 바이러스 식도염 = 585
거대세포 바이러스 식도염 = 585
HIV 식도염 = 586
기타의 감염증 = 586
약물 복용으로 인한 식도 손상 = 586
부식성 식도염 = 588
방사선으로 인한 식도염 = 589
식도염과 연관된 피부 질환 = 589
식도 게실 = 590
Zenker 게실 = 590
흉부 중부의 견인성 게실 = 590
상횡격막 게실 = 591
식도 정맥류 = 591
내시경적 분류 = 591
식도 정맥류에 접근하는 다른 방법들 = 594
식도 종양 = 595
임상 양상 = 596
해부학적 구조의 평가 = 596
식도의 양성종양 = 596
평활근 종양 = 596
식도벽 표층부의 양성 종양 = 597
점막하층의 양성 종양 = 598
식도의 악성 종양 = 599
식도암에 대한 내시경 감시검사 = 599
식도암의 내시경적 접근 = 601
37 위장 질환 / G.N.J. Tytgat ; 정인식 ; 박수헌 ; 함기백 ; 홍원선
정상 위 - 해부학적 변이들 - 점막 탈출증과 열상(째짐) = 607
정상위 = 607
열공 헤르니아 = 607
식도 주위 헤르니아 = 609
혼합형 헤르니아 = 609
상. 하부가 뒤집혀진 위 = 609
위장 게실(곁주머니) = 609
위장-식도의 탈출 = 609
위염 = 609
내시경적인 관점 = 609
Mallory-Weiss 열창(째짐) = 609
조직학적인 관점 = 614
감염성 위염 = 617
자가 면역성 위염 = 619
약제 유발성 위점막 손상 = 620
비후성 과형성 위염(Hypertrophic-Hyperplastic Gastrics) = 622
육아종성 위염 = 624
담즙 역류성 위염(Enterogastric or Biliary Reflux Gastritis) = 624
물리적 화학적 부식성 위염 = 625
스트레스 관련 위염(Stress Induced Gastritis) = 626
염증성 혈관 질환과 허혈 = 626
그 외의 원발성 원인 = 626
혈관 장애 = 627
위궤양 = 630
위 용종 = 633
상피성 병변 = 633
상피하 용종형 병변 = 637
위암 = 638
조기위암 = 638
진행성 위암 = 641
악성 비상피성 종양 = 642
술후 잔위 = 644
38 십이지장과 소장 질환 / Blair S. Lewis ; 최명규 ; 이광재
소장 종양 = 651
간질 종양 = 653
선종과 선암종 = 653
염증성 폴립 = 654
지방종 = 654
카르시노이드 = 654
림프종 = 656
Kaposi 육종 = 657
전이성 질환 = 657
소장의 궤양성 질환과 미란성 질환 = 657
Crohn 병 = 657
Zollinger-Ellison 증후군 = 657
감염 = 658
약물에 의한 영향 = 658
혈관염 = 659
방사선으로 인한 손상 = 659
장간막의 허혈 = 659
이식편대숙주병(Graft-versus-Host Disease, GVHD) = 660
선천성 질환 = 660
게실과 중복낭 = 660
Meckel 게실 = 660
중복낭(Duplication Cysts) = 660
혈관 기형 = 660
흡수장애 = 665
Celiac 병 = 665
Whipple 병 = 665
아밀로이드증 = 666
39 상부소화관의 출혈성 질환 / Justin C.Y. Wu ; Joseph J.Y. Sung ; 박영태 ; 한상영
서론 = 669
소화성 궤양 = 669
위십이지장미란 및 출혈 = 671
식도 및 위정맥류 = 672
문맥 고혈압성 위병증(Portal Hypertensive Gastropathy) = 675
Mallory-Weiss 증후군 = 676
식도염과 식도 궤양 = 676
Dieulafoy 병변 = 676
위전정부 혈관확장증 = 677
대동맥장관 누공 = 678
상부 위장관 종양 = 678
하부장관 질환 : 편집 G.N.J. Tytgat
40 대장직장 질환 / Douglas K. Rex ; John C. Lappas ; Oscar W. Cummings ; 나용호 ; 한동수 ; 최석채
대장암 = 683
유전성 증후군 = 688
대장용종 = 690
악성 용종 = 696
허혈성 대장염 = 697
위막성 대장염 = 698
세균성 대장염 = 700
장결핵과 바이러스 장염 = 700
항문, 직장 질환 = 700
내치핵 = 700
외치핵 = 701
치열 = 701
치루와 농양 = 701
게실 질환 = 702
게실 출혈 = 703
게실염 = 703
기타 질환 = 705
현미경적 결장염(Microscopic Colitis) = 705
대장 흑피증(Melanosis coli) = 706
장벽 낭상 기종(Pneumatosis Cystoides Intestinalis) = 706
고립성 직장 궤양 증후군(Solitary Rectal Ulcer Syndrome : SRUS) = 707
숙변성 궤양(Stercoral Ulcer) = 708
낭성 심재성 장염(Colitis Cystica Profunda) = 709
기타 종괴 병변 = 709
41 염증성 장 질환 / Yoram Bouhnik ; Marc L<TEX>$$\acute e$$</TEX>mann ; Vincent Maunoury ; Alain Bitoun ; Jean-Fr<TEX>$$\acute e$$</TEX>d<TEX>$$\acute e$$</TEX>ric Colombel ; 김원호 ; 김효종 ; 최재현
회장대장내시경술의 기술적인 측면(Technical Aspects of Ileocolon oscopy) = 713
진단 = 714
염증성장질환의 기본적인 내시경적 병변(Basic endoscopic lesion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) = 714
염증성 대장질환의 내시경적 진단 = 720
염증성 장 질환과 다른 원인에 의한 대장염과의 감별 진단 = 722
염증성 장질환에서 대장내시경검사의 적응 = 727
중증 급성 대장염 = 727
악성 종양의 진단과 조기검사 = 728
궤양성 대장염 : 내과적 치료 후 추적관찰 = 731
수술 후 추적 관찰 = 732
합병증 = 732
염증성 장 질환에서 기타 내시경적 수기 = 733
Crohn병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 = 733
소장 내시경검사 = 734
Crohn병에서 수술 중 시행하는 소장경검사 = 735
역행성췌담도 조영술(ERCP) = 735
내시경초음파검사(EUS) = 736
새로운 기술 = 736
42 하부 위장관 출혈 질환 / H. Messmann ; J. Sch<TEX>$$\ddot o$$</TEX>lmerich ; 진춘조 ; 박형석
정의 = 741
하부 위장관 출혈의 개요 = 741
임상 양상 = 741
문진 = 741
이학적 검사 = 742
검사실 소견 = 742
진단 방법 = 742
내시경검사 = 742
신티그래피(Scintigraphy) = 743
장관 혈관 조영술 = 744
감별 진단 = 744
게실 질환 = 744
급성과 만성 대장염 = 745
염증성 장질환 = 745
허혈성 대장염과 혈관 질환 = 746
감염성 대장염 = 746
방사선 대장염 = 748
대장 신생물 = 748
용종 절제술후 출혈 = 749
혈관 이형성증과 혈관 기형 = 750
항문 직장 질환 = 751
소장 출혈 = 751
HIV 감염 환자에서의 하부 위장관 출혈 = 753
드문 원인들 = 753
내시경검사와 다른 검사법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= 753
담췌, 간과 복막 질환 : 편집 G.N.J. Tytgat and C.J. Lightdale
43 담관 질환 / John Baillie ; 이돈행 ; 김영수
서문 = 761
시술 = 761
ERCP와 내시경 초음파검사의 일반적인 적응증 = 761
환자 준비 = 761
항생제 투여 = 761
조영제 알러지(Contrast Allergy) = 762
난해한 해부학적 구조 = 762
정상 담도조영 = 763
담석 = 763
총담관 결석 = 764
배경 = 764
총담관 결석을 진단하는데 ERCP, EUS, MRCP는 유용한가? = 765
담도 결석의 내시경적 치료 = 766
담낭 병변 = 774
담도계 암종 = 772
담도계 악성 종양 = 772
영상진단법 = 772
담관암의 진단을 위한 내시경초음파 혹은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 = 773
조직 채취 = 773
담관암의 병기 설정 = 775
담관 스텐트 삽입 = 775
담도계의 기타 질환 = 775
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= 775
총담관 낭종 = 777
Oddi 괄약근 기능장애 = 779
담관 기생충 = 781
담도 질환 치료에 관한 최근의 발전 = 781
44 췌장 질환 / Evan L. Fogel ; Stuart Sherman ; Glen A. Lehman ; 윤용범 ; 김용태 ; 함준수
서론 = 787
췌장의 발육이상 = 787
분할췌(Pancreas Divisum) : 진단과 치료 = 787
윤상 췌 = 796
췌장의 발육부전 = 797
췌담관 합류 이상 = 798
급성 췌장염 = 798
담석성 급성 췌장염 = 798
알려진 혹은 알려지지 않은 원인의 재발성 급성 췌장염 = 801
잘 낫지 않는 급성 췌장염 = 803
만성 췌장염 = 803
췌관 협착 = 804
췌관 결석 = 808
췌장 가성 낭종과 누공(Pancreatic pseudocyst and fistulas) = 812
만성췌장염에서 담관 폐쇄 = 814
Oddi 괄약근 기능 부전 = 816
췌장 신생물 = 816
결론 = 819
45 간과 복막 질환 / H. Juergen Nord ; 한광협 ; 이천균
서론 = 823
간과 담도계 질환 = 823
정상소견 = 823
지방간 = 826
급성과 만성 간염 = 826
국소 간 병변 = 831
양성 간 병변 = 831
국소성 악성 병변 = 833
복막 질환 = 837
원발성 복막 질환 = 837
전이성 질환 = 838
감염성 질환 = 839
원인 불명의 복수 = 839
간주위염 = 840
급, 만성 통증 증후군 = 840
항문질환 : 편집 C.J. Lightdale
46 임상 직장항문학 / Rainer Winkler ; 손승국 ; 한원곤 ; 김남규
항문질환의 진단 = 845
개요 = 845
진찰법 = 845
병력채취 = 845
준비 = 845
자세 = 846
시진 = 847
직장 수지 검사(직장 손가락 검사, digital rectal examination) = 847
직장경 검사 = 847
항문경 검사 = 848
추가 기구와 검사 = 849
항문 질환 = 849
일반 양상 = 849
치핵 = 849
항문, 항문 주위 치루 및 농양 = 855
항문과 항문주위 종양 = 859
기타 = 863
위장관의 감염성 질환 : 편집 C.J. Lightdale
47 위장관의 감염성 질환 / Scott Lee ; Christina M. Surawicz ; 박승국
서론 = 869
병태생리 = 869
임상 양상 = 869
병력과 이학 = 869
진단을 위한 검사 = 870
염증성 장질환과 감염성 대장염의 구별 = 871
치료 = 871
특수한 균주 = 872
바이러스 = 872
세균 = 872
기생충 질환 = 876
48 에이즈(AIDS)와 장관 질환 / Rosario Ligresti ; Lawrence J. Brandt ; 이동호 ; 장영운
서론 = 879
설사 = 879
병원체(pathogens) = 880
진단 = 880
특이 병원체와 내시경적 소견 = 881
거대세포 바이러스(Cytomegalovirus, CMV) = 881
세포내계형결핵균(Mycobcaterium avium intracellulare, MAI) = 882
Microsporidia/Cryptosporidium Parvum = 882
HIV 장증 = 882
연하곤란과 연하통 = 883
원인 = 883
캔디다 식도염 = 883
Cytomegalovirus(CMV) = 883
Herpes Simplex Virus(HSV) = 883
특발성(아프타성) 궤양[Idiopathic(Aphthous) Ulcers] = 884
기타 = 884
복통 = 884
위질환 = 884
MAI = 885
우상복부 복통 = 885
무결석 담낭염 = 885
AIDS 담도 병변 = 886
췌장염 = 886
위장관 출혈 = 887
하부 위장관 출혈 = 887
상부 위장관 출혈 = 887
AIDS와 내시경 전문의사 = 887
결론 = 888
소아 내시경술 : 편집 C.J. Lightdale
49 소아 내시경술 / Victor L. Fox ; 정기섭 ; 서정기
서론 = 893
환자 준비 = 893
정서적 준비(emotional preparation) = 893
식이 제한 = 894
진정제 투여 = 895
감염 예방을 위한 항생제 투여 = 897
금기 = 897
장비 = 897
상부 위장관 내시경술 = 898
진단과 치료를 위한 내시경의 적응증 = 899
대장 내시경술 = 908
진정제 = 908
대장 전처치 = 908
장비 = 909
기본 기술 = 909
용종절제술 = 909
적응증과 금기증 = 909
대장내시경 진단과 치료를 요하는 질환들 = 910
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관 조영술 = 915
서론 = 915
기구 = 915
환자 준비와 마취 = 916
기본 기술 = 916
소아 내시경 전문의의 역할 = 916
금기사항 = 916
진단적 또는 치료적 적응증 = 917
담도계 소견 = 917
췌장 소견 = 923
위장관 내시경술 = 926
내시경 전문용어와 보고서 작성 : 편집 M. Classen
50 내시경 검사의 결과보고용어와 영상 기록 / Walter Heldwein ; Thomas R<TEX>$$\ddot o$$</TEX>sch ; 김진호
서면보고서 = 935
용어 = 935
응용프로그램 수행 용어를 위한 특수한 필요조건 = 936
영상 증빙기록 = 938
정지 영상과 비디오 동영상 = 939
영상 기록화 기준을 위한 방향 = 940
(목차 정보: 국립중앙도서관 제공)
더보기 닫기